마이크로 포서즈 시스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이크로 포서즈 시스템은 4/3인치 이미지 센서를 사용하고 4:3 화면비를 갖는 렌즈 교환식 카메라 시스템이다. 센서 크기는 APS-C 센서보다 작지만, 일반적인 컴팩트 카메라 센서보다는 크다. 렌즈 마운트는 베이요넷 타입이며, 짧은 플랜지백 거리를 통해 렌즈 크기를 줄일 수 있다. 마이크로 포서즈 시스템은 올림푸스와 파나소닉이 주도하며, 다양한 제조사에서 렌즈와 카메라 바디를 출시한다. 장점으로는 더 작고 가벼운 렌즈, 전자식 뷰파인더를 통한 정확한 촬영, 다양한 렌즈 호환성을 제공하며, 단점으로는 센서 크기, 전자식 뷰파인더의 랙, 얕은 심도 표현의 어려움 등이 있다.
마이크로 포서즈 시스템은 미러리스 구조에 최적화된 렌즈 마운트를 채택하여, DSLR 규격인 포서즈 시스템을 소형화 및 경량화했다. 주요 변경 사항은 다음과 같다.[47]
마이크로 포서즈 시스템은 휴대성과 화질 사이의 균형을 제공하는 시스템으로, 상황에 따라 장점과 단점이 존재한다.[47]
2. 센서 크기 및 종횡비
포서즈 시스템과 마이크로 포서즈 시스템의 이미지 센서는 일반적으로 4/3 인치, 또는 4/3 타입 센서로 불린다. 센서 크기는 총면적 18.0x13.5mm (대각선 22.5mm), 유효 면적 17.3x13.0mm (대각선 21.64mm)이다.[238] 이 센서의 면적은 타 제조사들의 DSLR에서 쓰이는 APS-C 규격 센서보다 30~40% 작지만, 일반적인 컴팩트 카메라의 1/2.5 인치 센서보다는 9배 이상 크다.
포서즈 시스템은 일반적인 컴팩트 카메라와 같은 4:3 화면비를 사용하지만, 다른 APS-C DSLR 및 35mm 풀프레임 DSLR은 전통적인 35mm 필름 포맷에서 쓰이는 3:2 화면비를 사용한다.
MFT 설계 표준은 4:3, 3:2, 16:9 (네이티브 HD 비디오 형식 사양), 1:1 (정사각형 형식) 등 여러 화면비를 지정한다. 몇몇 MFT 카메라를 제외하고,[6][7][8] 대부분의 MFT 카메라는 네이티브 4:3 형식 화면비로 기록하며, 4:3 이미지를 잘라 16:9, 3:2, 1:1 형식으로 기록할 수 있다.
3. 렌즈 마운트
플랜지 백이 짧아져 렌즈 설계 자유도가 높아졌고, 미러 기구가 없어 렌즈와 바디의 소형화, 경량화, 박형화가 가능해졌다. 또한, 구조상 불가능했던 동영상 촬영도 가능하게 되었다. 마운트 전기 접점 증가로 렌즈와 바디 간 통신 속도가 향상되어 라이브 뷰의 AF 기능이 원활해지고, 고해상도 동영상 기록 및 촬영 화면 비율 변경이 가능해졌다.
MFT 시스템은 19.25mm의 백 포커스를 가진 베이요넷 타입의 렌즈 마운트를 규정한다. 내부 거울을 없앰으로써, MFT 규격은 훨씬 더 얇은 카메라 바디를 가능하게 한다.
기존 포서즈 시스템 렌즈는 마운트 어댑터를 통해 마이크로 포서즈 시스템 바디에 장착할 수 있다(반대는 불가).[49] 올림푸스는 특수 제작 어댑터를 사용하여 MFT 바디에서 기존 포서즈 렌즈 대부분에 대해 완전한 호환성을 주장한다.[9] 2009년 3월 현재 마이크로 포서즈 시스템 카메라는 모든 마이크로 포서즈 시스템 전용 렌즈와 일부 포서즈 시스템 전용 렌즈에 컨트라스트 검출 AF 기능을 제공한다.
짧은 플랜지 백 덕분에 다양한 렌즈 마운트용 어댑터가 출시되어, 사실상 거의 모든 렌즈를 사용할 수 있다.[10] 캐논 FD, 니콘 F (G 렌즈는 특수 어댑터 필요), MD/MC, 라이카 M, M42 스크류 마운트, C-마운트 시네 렌즈 등은 유리 없는 어댑터를 사용하여 마이크로 포서즈 시스템에 쉽게 장착할 수 있으며, 빛 손실이나 선명도 저하가 없다.
어댑터 렌즈는 고유의 초점 거리를 유지하지만 화각이 절반으로 줄어든다. 즉, 어댑터 50mm 렌즈는 초점 거리는 50mm이지만, 마이크로 포서즈 시스템의 2배 크롭 팩터로 인해 100mm 렌즈에 해당하는 좁은 화각을 갖는다.
다만, 구형 어댑터 렌즈를 사용하면 이미지 품질이 약간 저하될 수 있고, 렌즈 크기가 커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네이티브 자동 초점 렌즈조차도 수동 초점이다. 하지만 모든 측광 기능이 유지되며, 일부 자동 촬영 모드 (조리개 우선)도 지원된다.
마이크로 포서즈 시스템 바디에는 다음 렌즈용 마운트 어댑터가 올림푸스 순정 옵션으로 출시되어 있다.
순정품 외에도 서드파티에서 다양한 렌즈 마운트용 어댑터가 출시되어 있다.4. 장점과 단점 및 기타 요소
디지털 일안 반사식 카메라 규격인 포서즈 시스템을 소형화, 경량화하기 위해 미러리스 구조에 최적화되었으며, 다음과 같은 변경이 이루어졌다. 이미지 센서 크기는 포서즈 시스템과 같다.
플랜지 백 단축으로 동일한 광속을 통과시키는 마운트 외경이 약 6mm 축소되어, 기존 포서즈 시스템보다 바디와 렌즈를 더욱 소형, 경량화, 박형화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플랜지 백이 절반으로 줄어 미러(반사) 기구를 탑재하는 것이 불가능해져, 전자식 뷰파인더(EVF)를 탑재하는 경우가 많다.
미러 기구가 없어짐으로써 레인지 파인더 카메라용 렌즈에서 볼 수 있는 백 포커스가 짧은 렌즈를 탑재할 수 있게 되어 렌즈 설계의 자유도가 높아졌고, 구조상 불가능했던 동영상 촬영에도 대응할 수 있게 되었다.
마운트 전기 접점 증가로 렌즈와 바디 간 통신 속도가 향상되어 라이브 뷰 AF 기능이 원활해지고, 고해상도 동영상 기록 및 촬영 화면 비율(4:3, 3:2, 16:9) 변경이 가능해졌다. 미래 기능 확장에도 대응하고 있다.
포서즈 시스템 렌즈는 마운트 어댑터를 통해 마이크로 포서즈 시스템 바디에 장착할 수 있다(반대는 불가). 휴대성과 화질의 최고 합치점을 목표로 한 오스카 바르낙의 사상을 존중하여, 마이크로 포서즈는 렌즈와 바디가 소형으로 설계되었다.[49]
규격 발표 당시 찬동 기업은 올림푸스, 파나소닉, 라이카 3사뿐이었으나, 코시나, 칼 자이스, 코마무라 상회, 슈나이더 크로이츠나흐, 탐론, 켄코 토키나, 아스트로 디자인, 블랙매직 디자인 등 여러 기업들이 규격에 찬동을 발표했다. 2020년 현재에도 새롭게 규격에 찬동하는 기업이 늘고 있다.[50]
4. 1. 포서즈 시스템 및 여타 DSLR 카메라와 비교했을 때
마이크로 포서즈 시스템은 콤팩트 카메라나 브리지 카메라보다 센서가 크고 렌즈 교환이 가능하여 화질이 우수하고 다양한 렌즈를 활용할 수 있다.[10] 그러나 콤팩트 카메라보다는 크고 무거우며 가격이 비싸다.
대부분의 DSLR과 비교하면 마이크로 포서즈 시스템은 바디와 렌즈가 작고 가볍지만, 풀프레임 또는 APS-C 시스템보다 센서가 작아 노이즈 및 피사계 심도 면에서 불리하다.
초기에는 DSLR보다 느린 컨트라스트 검출 자동 초점 시스템을 사용했지만, 올림푸스 OM-D E-M1 Mark II 이후 하이브리드 위상차 검출/컨트라스트 검출 시스템을, G9 II 이후 위상차 검출 자동 초점 시스템을 사용하여 초점 속도가 향상되었다.
마이크로 포서즈는 포서즈 시스템보다 렌즈 마운트 쓰로트 직경이 6mm 작고(약 38mm), 렌즈-카메라 간 접점이 9개에서 11개로 늘었다.[9] 특수 어댑터를 사용하면 대부분의 포서즈 렌즈와 호환되며,[9] 라이카 M, 라이카 R, 올림푸스 OM 시스템 등 다양한 렌즈도 어댑터를 통해 사용 가능하다.[10]
미러 제거로 플랜지 초점 거리가 짧아져 일반 및 광각 렌즈 설계 시 레트로포컬 방식이 불필요해 렌즈 크기를 줄일 수 있다. 센서 형식은 35mm 필름(풀 프레임) 대비 2.0 크롭 팩터를 갖는다.
이미지 센서 클래스 | 광각 (대각 화각 ≈ 75°) | 정상 화각 (대각 화각 ≈ 47°) | 망원 화각 (대각 화각 ≈ 29°) | 동등한 f-수 | 동등한 노출 지수 | 정상 화각에서 무한대-1m 초점 시 변위 |
---|---|---|---|---|---|---|
Nikon 1 | 10 mm | 18 mm | 31 mm | 1.7 | 100 | 0.33 mm |
포서즈 | 14 mm | 25 mm | 42.5 mm | 2.4 | 200 | 0.64 mm |
APS-C | 18 mm | 33 mm | 57 mm | 3.2 | 360 | 1.1 mm |
풀 프레임 | 28 mm | 50 mm | 85 mm | 4.8 | 800 | 2.6 mm |
4. 1. 1. 장점
마이크로 포서즈 시스템은 기존 DSLR 및 포서즈 시스템에 비해 다음과 같은 장점들을 가진다.- 더 작고 가벼운 렌즈: 포서즈 시스템이 수직입사를 필수적으로 요구하는 것과 달리, 마이크로 포서즈는 수직입사 제약이 없어 렌즈 설계가 자유롭다. 짧아진 플랜지백 거리와 미러 제거 덕분에 레트로포커스(retro-focus) 디자인이 필요 없어, 작고 저렴한 표준 화각 및 광각 렌즈 설계가 가능하다.
- 정확한 라이브뷰: 센서를 통해 들어오는 신호를 전자식 뷰파인더(EVF)로 볼 수 있어, 촬영 순간의 정확한 노출, 콘트라스트, 구도를 확인할 수 있다.
- 정확한 자동 초점: 컨트라스트 검출 AF 시스템을 사용하여 위상차 검출 AF 시스템의 정확성 문제를 피할 수 있다.[239] 센서 면에서 초점을 맞추기 때문에 정확하다. 올림푸스 E-M1은 컨트라스트 검출 AF와 위상차 검출 AF를 동시에 사용하며, 모두 센서 면에서 초점을 잡아 광학계로 인한 오차가 없다.
- 다양한 렌즈 호환성: 짧은 플랜지백 거리 덕분에 렌즈 마운트 어댑터 사용 시 보정 렌즈가 필요 없어 다양한 종류의 구형 수동 조작 렌즈를 사용할 수 있다.

- 콤팩트 카메라 및 브리지 카메라 대비 장점:
- 더 큰 센서와 교환 가능한 렌즈를 갖춰 이미지 품질이 우수하다.
- 다양한 렌즈를 사용할 수 있어 창의적인 표현이 가능하다. 어댑터를 사용하면 아날로그 필름 시대의 렌즈도 장착할 수 있다.
- DSLR 대비 장점:
- 시스템(바디와 렌즈)이 더 작고 가볍다.
- 라이카 M, 라이카 R, 올림푸스 OM 시스템 렌즈를 파나소닉 및 올림푸스 어댑터를 통해 사용할 수 있다. 시판 어댑터로는 라이카 스크류 마운트, 콘탁스 G, C 마운트, Arri PL 마운트, 프락티카, 캐논, 니콘, 펜탁스 등이 있다.[10] 플랜지 초점 거리가 20mm보다 크거나 약간 작은 거의 모든 사진, 영화 또는 비디오 카메라의 렌즈를 어댑터를 통해 MFT 바디에 사용할 수 있다.
마이크로 포서즈 시스템의 짧은 플랜지 초점 거리는 미러가 제거됨으로써 가능해졌으며, 일반 및 광각 렌즈가 레트로포컬 설계를 사용할 필요가 없어 크기를 줄일 수 있다. MFT 카메라에서 사용되는 포서즈 센서 형식은 35mm 필름(풀 프레임) 카메라와 비교했을 때 2.0 크롭 팩터에 해당한다.
이미지 센서 클래스 | 광각에서의 동등한 초점 거리 (대각 화각 ≈ 75°) | 정상 화각에서의 동등한 초점 거리 (대각 화각 ≈ 47°) | 망원 화각에서의 동등한 초점 거리 (대각 화각 ≈ 29°) | 동일한 피사계 심도와 동일한 회절 제한 해상도에서의 동등한 f-수 | 동일한 노출 시간 및 플래시 범위에서의 동등한 노출 지수 | 정상 화각에서 무한대에서 물체 공간에서 1미터로 초점을 맞출 때 이미지 공간에서의 변위 |
---|---|---|---|---|---|---|
Nikon 1 | 10 mm | 18 mm | 31 mm | 1.7 | 100 | 0.33 mm |
포서즈 | 14 mm | 25 mm | 42.5 mm | 2.4 | 200 | 0.64 mm |
APS-C | 18 mm | 33 mm | 57 mm | 3.2 | 360 | 1.1 mm |
풀 프레임 | 28 mm | 50 mm | 85 mm | 4.8 | 800 | 2.6 mm |
전자식 뷰파인더(EVF)의 장점:
- 노출, 화이트 밸런스, 톤의 실시간 미리 보기
- 저조도 장면을 실제보다 밝게 표시
- 확대된 미리 보기를 통해 정확한 수동 초점 지원
- 비디오 촬영 시 뷰파인더 사용 가능 (DSLR은 미러를 올려야 하므로 광학 뷰파인더 사용 불가)
- 센서가 보는 잠재적인 사진을 표시 (광학 뷰와 다름)
- 일부 광학 뷰파인더보다 더 크게 보일 수 있음
- 움직이는 미러와 셔터가 없어 소음, 무게, 디자인 복잡성 및 비용 절감
4. 1. 2. 단점
- 전자식 뷰파인더(EVF)는 저조도 환경에서 노이즈가 보일 수 있다.
- 135 포맷 및 APS-C 포맷을 사용하는 DSLR 카메라보다 센서가 작아, 동일 성능의 135 포맷 또는 APS-C 포맷 카메라에 비해 신호대잡음비(SNR), 다이내믹 레인지, 얕은 심도 표현에서 불리하다.
- 전자식 뷰파인더에 약간의 랙이 있을 수 있다.
- 초기 마이크로 포서즈 카메라는 DSLR의 위상차 검출 자동 초점 시스템보다 느린 콘트라스트 검출 자동 초점 시스템을 사용했다. 이 단점은 대부분 제거되었으며, 정적인 피사체의 경우 올림푸스 OM-D E-M5(2012)는 단일 AF에서 DSLR과 비교할 만하다.[24]
- 포서즈 센서(2.0× 크롭 팩터)는 APS-C (1.6x 크롭 팩터)의 68%, 니콘/소니 APS-C(1.5x 크롭 팩터)의 61%, 풀프레임 센서(1.0× 크롭 팩터, 35mm 상당)의 25% 크기이다. 이는 다른 모든 변수가 동일할 때, 특히 저조도 환경에서 더 큰 센서에 비해 색상 전환이 더 좋지 않고 노이즈가 더 많아 이미지 품질이 낮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23]
- 콘트라스트 감지 자동 초점 시스템은 움직이는 피사체를 추적할 때 성능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지만, 2013년 올림푸스 OM-D E-M1에 도입된 센서 내 위상차 검출 자동 초점 기능이 있는 카메라는 연속 AF 모드에서 DSLR과 비슷하게 작동할 수 있다. 파나소닉 G9 II는 위상차 검출 자동 초점을 가지고 있다. 올림푸스 OM-D E-M1X와 파나소닉 G9 II는 모두 관심 영역과 그 동작을 예측하기 위해 인공 지능으로 훈련된 기술을 사용한다.[25]
- 렌즈를 통한 광학 뷰파인더를 사용할 수 없다. 렌즈를 통한 전자 뷰파인더, 부착 가능한 비렌즈 광학 뷰파인더(레인지 파인더 카메라 또는 이안 반사식 카메라와 유사) 또는 일반적으로 제공되는 LCD 화면을 대신 사용해야 한다.
- 이론적으로, 렌즈를 교체하면 미러와 셔터가 모두 있어 센서를 보호하는 DSLR에 비해 "미러리스" 카메라 설계에서 센서가 먼지에 더 많이 노출될 수 있다. 미러리스 카메라는 이 문제를 최소화하기 위해 먼지 제거 시스템을 갖추고 있으며, 실제로 DSLR보다 먼지 문제가 적다.[26] 많은 마이크로 포서즈 사용자는 센서에서 먼지를 전혀 발견한 적이 없다고 보고한다.[27]
- 더 큰 크롭 팩터(2× 배율, APS-C의 1.5× 또는 1.6× 대비)는 APS-C, 특히 풀프레임 카메라에 비해 동일한 시야각 및 f/stop에서 더 큰 피사계 심도를 의미한다. 이는 사진작가가 인물 사진을 촬영할 때와 같이 배경을 흐리게 하고 싶을 때 단점이 될 수 있다.[28]
- 일부 마이크로 포서즈 카메라와 렌즈는 매우 작아서 손이 큰 사용자의 경우 상대적으로 좋지 않은 인체 공학적 설계를 초래할 수 있다. 이는 특히 그립감, 오른손 그립의 깊이, 버튼과 다이얼의 크기 및 배치에 적용된다.
- 마이크로 포서즈 렌즈는 35mm 상당*(풀 프레임) 및 APS-C 카메라에서 사용할 수 있지만 렌즈 비네팅에 취약하다.
- 구형 카메라는 더 느린 셔터 속도에서 "셔터 쇼크"가 발생하기 쉽다. DSLR에서는 셔터가 열리고 닫히지만, 마이크로 포서즈 카메라는 사진을 찍을 때마다 셔터를 닫고, 열고 닫은 다음 다시 열어야 한다.
다음 표는 Micro Four Thirds와 비교하여 몇 가지 인기 있는 이미지 센서 클래스에 대한 동일한 이미지 매개변수를 보여준다.[18]
이미지 센서 클래스 | 광각 (대각 화각 ≈ 75°) | 정상 화각 (대각 화각 ≈ 47°) | 망원 화각 (대각 화각 ≈ 29°) | 동등한 f-수 | 동등한 노출 지수 | 정상 화각에서 무한대에서 1m로 초점 맞출 때 변위 |
---|---|---|---|---|---|---|
Nikon 1 | 10 mm | 18 mm | 31 mm | 1.7 | 100 | 0.33 mm |
포서즈 | 14 mm | 25 mm | 42.5 mm | 2.4 | 200 | 0.64 mm |
APS-C | 18 mm | 33 mm | 57 mm | 3.2 | 360 | 1.1 mm |
풀 프레임 | 28 mm | 50 mm | 85 mm | 4.8 | 800 | 2.6 mm |
4. 2. 컴팩트 디지털 카메라와 비교했을 때
마이크로 포서즈(MFT) 카메라는 콤팩트 카메라나 브리지 카메라에 비해 센서가 크고 렌즈를 교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다양한 렌즈를 사용할 수 있으며, 어댑터를 이용하면 과거 아날로그 필름 카메라 렌즈까지 활용할 수 있어 창의적인 표현이 가능하다. 하지만, MFT 카메라는 콤팩트 카메라보다 크고 무거우며, 가격도 비싼 편이다.
대부분의 DSLR과 비교하면, MFT 시스템은 (본체와 렌즈 모두) 더 작고 가볍다. 그러나 센서는 풀프레임이나 APS-C 시스템보다 작아, 다른 시스템의 큰 렌즈만큼 노이즈와 피사계 심도 간의 균형을 맞추기 어렵다.
MFT 카메라 초기 모델들은 DSLR에 비해 자동 초점 속도가 느렸지만, 최근 모델들은 많이 개선되었다. 초기에는 DSLR의 위상차 검출 자동 초점 시스템보다 느린 콘트라스트 검출 자동 초점 시스템을 사용했다. 현재까지도 대부분의 MFT 카메라는 콘트라스트 기반 초점 시스템을 사용한다. 올림푸스 OM-D E-M1 Mark II와 같은 일부 최신 모델은 위상차 검출과 콘트라스트 검출 방식을 결합한 하이브리드 시스템을 사용하기도 하지만, 파나소닉 루믹스 카메라는 2023년 G9 II 출시 전까지 DFD(Depth from Defocus)라는 콘트라스트 기반 시스템을 계속 사용했다. 오늘날 두 시스템 모두 최신 DSLR과 비슷하거나 더 빠른 초점 속도를 제공한다.
많은 MFT 카메라가 전자식 뷰파인더(EVF)를 사용하는데, 초기 EVF는 광학 뷰파인더에 비해 해상도와 반응 속도가 떨어진다는 평가를 받았지만, 현재는 더 빠르고 밝으며, 훨씬 높은 해상도를 제공한다.
4. 2. 1. 장점
마이크로 포서즈 시스템은 기존 DSLR에 비해 다음과 같은 장점들을 가진다.- 카메라와 렌즈가 작고 가벼워 휴대하기 좋고, 다른 사람들의 시선을 덜 끈다.
- 플랜지 초점 거리가 짧아 대부분의 수동 렌즈를 어댑터를 통해 사용할 수 있다. 특히, 광각 렌즈의 경우 더 작고 가볍고 저렴하게 만들 수 있다.
- 콘트라스트 검출 자동 초점 방식은 DSLR의 위상차 검출 자동 초점 방식에서 발생할 수 있는 초점 오류가 없어, 렌즈마다 초점을 보정할 필요가 없다.
- 미러가 없어 미러 작동으로 인한 소음과 카메라 흔들림이 없다.
- 센서 크기가 작아 열 발생이 적고 냉각이 쉬워, 장시간 노출이나 동영상 촬영 시 이미지 노이즈를 줄일 수 있다.
- 센서와 플랜지 사이 거리가 짧아 DSLR보다 센서 청소가 쉽다. DSLR은 섬세한 거울 구조도 함께 붙어있다.
- 2배 크롭 팩터 덕분에 작고 가벼운 렌즈로도 더 긴 망원 효과를 얻을 수 있다.
- 센서 크기가 작아 같은 화각과 조리개 값에서 더 깊은 피사계 심도를 얻을 수 있다. 이는 풍경, 매크로 촬영, 저조도 환경 동영상 촬영 등에 유리하다.
- 일부 모델에 탑재된 전자식 뷰파인더(EVF)는 기존 광학식 뷰파인더보다 여러 장점을 가진다. (아래 참조)
DSLR도 "라이브 뷰" 기능이 있지만, 마이크로 포서즈의 전자식 뷰파인더(EVF)에 비해 성능이 떨어지는 경우가 많다. EVF의 장점은 다음과 같다.
- 노출, 화이트 밸런스, 색조 등을 실시간으로 미리 볼 수 있다.
- 어두운 곳에서도 실제보다 밝게 볼 수 있다.
- 확대된 미리보기를 통해 수동 초점을 더 정확하게 맞출 수 있다.
- 동영상 촬영 시에도 뷰파인더를 사용할 수 있다. DSLR은 동영상 촬영 시 미러를 올려야 하므로 광학식 뷰파인더를 사용할 수 없다.
- 광학 뷰와 달리 센서가 보는 그대로를 표시한다.
- 특히 뷰파인더가 터널처럼 보이는 보급형 DSLR보다 화면이 더 커 보일 수 있다.
- 움직이는 미러와 셔터가 없어 소음, 무게, 디자인 복잡성, 비용을 줄일 수 있다.
- 고급 재료와 디자인으로 인해 무게나 크기 감소 효과는 없다. 광학 뷰파인더의 품질은 DSLR마다 크게 다르다.[19]
올림푸스와 파나소닉은 내장 EVF와 핫슈에 장착하는 별도 EVF, 두 가지 방식으로 전자식 뷰파인더를 구현했다.
2012년 2월 OM-D E-M5 출시 전까지 올림푸스 카메라는 내장 EVF가 없었다. 올림푸스는 4개의 핫슈 장착형 뷰파인더를 제공했다. 올림푸스 VF-1은 17mm 팬케이크 렌즈 시야각과 같은 65도 시야각을 가진 광학 뷰파인더로, 주로 EP-1을 위해 설계되었다. 이후 올림푸스는 고해상도 VF-2 EVF[20]와 올림푸스 EP-1 이후 모든 MFT 카메라에서 사용 가능한 더 저렴하고 해상도가 낮은 VF-3[21]를 출시했다. 이 EVF는 핫슈에 장착될 뿐만 아니라, 전원 공급과 통신을 위해 올림푸스 카메라의 전용 포트에 연결된다. VF-2와 VF-3는 올림푸스 XZ-1과 같은 고급 올림푸스 콤팩트 카메라도 사용 가능하다. 올림푸스는 2013년 5월 네 번째 PEN 플래그십 E-P5와 함께 VF-4를 발표했다.
2011년 중반 기준, 파나소닉 G 및 GH 시리즈 카메라는 EVF가 내장되어 있으며, 세 가지 GF 모델 중 두 가지는 별매품인 LVF1[22] 핫슈 EVF를 사용할 수 있다. LVF1은 전원 공급 및 통신을 위해 카메라의 전용 포트에 연결해야 한다. 이 전용 포트와 액세서리는 파나소닉 루믹스 DMC-GF3(Panasonic Lumix DMC-GF3) 디자인에서 제외되었다. 올림푸스와 마찬가지로 LVF1은 파나소닉 루믹스 DMC-LX5와 같은 고급 파나소닉 콤팩트 카메라에서 사용할 수 있다.
- 훨씬 큰 센서(면적 5~9배)는 저조도 성능, 넓은 다이내믹 레인지, 적은 노이즈 등 더 나은 이미지 품질을 제공한다.
- 교환식 렌즈를 통해 특수 렌즈, 구형 렌즈, 미래형 렌즈 등 다양한 렌즈를 사용할 수 있다.
- 얕은 피사계 심도(예: 인물 사진, 보케) 표현이 가능하다.
- IBIS(바디 내 손떨림 보정) 기능이 파나소닉 및 올림푸스 마이크로 포서즈 카메라에 흔히 탑재되어, 느린 셔터 속도에서도 더 선명한 이미지를 얻을 수 있다.
4. 2. 2. 단점
- DSLR과 같이 렌즈 교환 시 센서에 이물질이 들어갈 수 있다. 그러나 현재 마이크로 포서즈 시스템 카메라는 효과적인 먼지 제거 장치를 내장하고 있다.
- 올림푸스 SP-590UZ의 26배 줌과 같은 초고배율 줌렌즈가 존재하지 않아 렌즈를 교환해야 한다.
- 모든 미러리스 제품과 마찬가지로 마이크로 포서즈 카메라도 경량화에는 한계가 존재하며, 따라서 콤팩트 카메라에 비하여 크고 무거운 단점이 있다.
- 풀프레임 또는 APS-C 시스템보다 센서가 작아, 다른 시스템의 더 큰 렌즈가 제공하는 노이즈 및 피사계 심도 사이의 균형을 허용하지 않는다.
- 초기 마이크로 포서즈 카메라는 DSLR에서 표준인 위상차 검출 자동 초점 시스템보다 느린 컨트라스트 검출 자동 초점 시스템을 사용했다.
- 센서 크기가 커짐에 따라 카메라와 렌즈 모두 크기와 무게가 증가한다.
- 익스트림 줌 렌즈 (30×~120× 모델 등)는 물리적 크기, 비용 및 실용성 문제로 인해 대형 센서 카메라에서는 더 비싸거나 아예 사용할 수 없다.
- 더 큰 센서와 얕은 피사계 심도는 번들 매크로 기능과 근접 초점을 더 어렵게 만들어, 종종 별도의 특수 렌즈를 필요로 한다.
- (일반적으로) 더 높은 비용이 소요된다.
5. 마이크로 포서즈 시스템 카메라 및 렌즈 제조 회사
파나소닉과 올림푸스는 마이크로 포서즈 시스템 개발에 핵심적인 역할을 한 기업이다. 2008년 11월, 파나소닉은 Lumix DMC-G1을 출시하며 마이크로 포서즈 시스템 최초의 카메라를 선보였다. 이 카메라는 스위블 액정과 대형 전자식 뷰파인더를 탑재했으며, 외관은 Lumix DMC-L10과 유사했다. 2009년 4월에는 Lumix DMC-GH1[240]이 출시되었는데, DMC-G1과 동일한 외형에 1080p 동영상 녹화 기능을 추가했다.
올림푸스는 2009년 7월, PEN E-P1이라는 모델명으로 마이크로 포서즈 규격 DSLR[241]을 출시하며 시장에 합류했다.
2012년 6월 기준으로, 올림푸스, 파나소닉 외에도 코시나 복트란더, 칼 자이스, 슈나이더-크로이츠나흐, Komamura Corporation, 시그마, 탐론,[4] Astrodesign,[29] Yasuhara,[30] 블랙매직 디자인[31] 등이 마이크로 포서즈 시스템에 참여하고 있다.
블랙매직 디자인은 시네마그래피용 카메라를 제작, 판매하며 이 중 일부는 MFT 렌즈 마운트를 사용한다. 최초의 MFT 카메라는 1080HD 녹화 기능을 갖춘 블랙매직 포켓 시네마 카메라(BPCC)로, 2013년 4월에 발표되었다.[34]
2014년, 코닥 브랜드를 소유한 JK 이미징은 최초의 마이크로 포서즈 카메라 코닥 픽스프로 S-1을 출시했다.[37]
2016년, 샤오미는 4K 비디오 기능을 갖춘 20MP MFT 카메라인 YI M1을 출시했다.[39]
5. 1. 올림푸스 (현 OM 디지털 솔루션즈)
올림푸스(현 OM 디지털 솔루션즈)는 2009년 7월, PEN E-P1이라는 모델명으로 마이크로 포서즈 규격 DSLR을 출시했다.[241] 2012년 6월 기준으로, 올림푸스는 마이크로 포서즈 시스템을 채택하고 있다.올림푸스의 마이크로 포서즈 카메라는 크게 PEN 시리즈와 OM-D 시리즈, 그리고 OLYMPUS AIR 시리즈로 나뉜다. PEN 시리즈는 다시 초소형 모델, 보급형(Lite) 모델, 고급형 모델 등 다양한 라인업을 갖추고 있다. OM-D 시리즈는 고성능, 고화질을 추구하는 사용자를 위한 모델이다.
제품명 | 출시일 | 비고 |
---|---|---|
올림푸스 PEN E-P7(Olympus PEN E-P7) | 2021년 6월 25일 | |
OM 시스템 OM-1(OM System OM-1) | 2022년 3월 18일 | |
OM 시스템 OM-5(OM System OM-5) | 2022년 11월 18일 |
5. 1. 1. 올림푸스 PEN 시리즈
wiki- PEN E-P1 - 2009년 7월 출시[51]。올림푸스 최초의 마이크로 포서즈 시스템 채용 모델. 공식 사이트에서는 "마이크로 일안"이라고 칭하고 있다.
- PEN E-P2 - 2009년 12월 출시[52]。E-P1에 외장 전자 뷰파인더(EVF)용 단자 등을 추가한 모델.
- PEN E-P3 - 2011년 7월 출시[53]。E-P2에 플래시, 풀 하이비전 동영상 기록, 터치 패널을 탑재한 모델.
- PEN E-P5 - 2013년 6월 출시[54]。유효 화소수 1605만 화소 Live MOS 센서, 1/8000초의 고속 메커니컬 셔터, 5축 5단 센서 시프트식 손떨림 보정, 상하 틸트식 가동 액정, 내장 Wi-Fi를 탑재한 모델.
- PEN Lite E-PL1 - 2010년 3월 출시[55]。엔트리 모델.
- PEN Lite E-PL1s - 2010년 12월 출시[56]。E-PL1의 키트 렌즈 변경, 마이너 체인지 모델.
- PEN Lite E-PL2 - 2011년 1월 출시[57]。E-PL1s에서 외관 디자인을 변경. 아트 필터 추가, 3.0인치 액정 모니터 채용.
- PEN Lite E-PL3 - 2011년 9월 출시[58]。E-PL2에서 외관 디자인을 변경. 가동식 모니터, 풀 하이비전 동영상 기록을 탑재.
- PEN Lite E-PL5 - 2012년 10월 출시[59]。
- PEN Lite E-PL6 - 2013년 6월 출시[60]。
- PEN Lite E-PL7 - 2014년 9월 출시[61]。
- PEN Lite E-PL8 - 2016년 11월 18일 출시[62]。
- PEN Lite E-PL9 - 2018년 3월 9일 출시[63]。
- PEN Lite E-PL10 - 2019년 11월 22일 출시
- PEN mini E-PM1 - 2011년 10월 출시[64]。초소형 모델.
- PEN mini E-PM2 - 2012년 10월 출시[65]。
- PEN-F - 2016년 2월 26일 출시[66]。
5. 1. 2. 올림푸스 OM-D 시리즈
올림푸스 OM-D 시리즈는 올림푸스에서 출시한 미러리스 카메라 라인업이다.- OM-D E-M5 시리즈
- OM-D E-M5
- OM-D E-M5 Mark II
- OM-D E-M5 Mark III
- OM-D E-M1 시리즈
- OM-D E-M1
- OM-D E-M1 Mark II
- OM-D E-M1 Mark III
- OM-D E-M1X
- OM-D E-M10 시리즈
- OM-D E-M10
- OM-D E-M10 Mark II
- OM-D E-M10 Mark III
- OM-D E-M10 Mark IV
5. 1. 3. 올림푸스 OLYMPUS AIR
올림푸스 AIR A01은 마이크로 포서즈 시스템을 채택한 카메라이다.5. 2. 파나소닉 Lumix 시리즈
최초의 마이크로 포서즈 시스템 카메라는 2008년 10월 일본에서 출시된 파나소닉 루믹스 DMC-G1이다.[32] 2009년 4월에는 HD 비디오 녹화 기능이 추가된 파나소닉 루믹스 DMC-GH1이 출시되었다.[33]파나소닉은 이후 G, GH, GF, GX, GM 시리즈 등 다양한 루믹스 카메라를 출시했다. 각 시리즈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아래 표와 같다.
시리즈 | 개요 | 주요 모델 |
---|---|---|
G 시리즈 | 35mm 필름 카메라와 유사한 대형 전자식 뷰파인더(EVF)를 탑재한 보급형 모델 | 파나소닉 루믹스 DMC-G1, 파나소닉 루믹스 DMC-G2, 파나소닉 루믹스 DMC-G10 |
GH 시리즈 | 파나소닉 루믹스 DMC-G1에 고화질 비디오 녹화 기능을 추가한 고급형 모델 | 파나소닉 루믹스 DMC-GH1 |
GF 시리즈 | 스타일리시하고 콤팩트한 디자인을 강조한 여성 사용자 대상 모델 | 파나소닉 루믹스 DMC-GF1, 파나소닉 루믹스 DMC-GF2 |
GX 시리즈 | 고급 사용자를 위한 고성능, 고화질 모델 | 파나소닉 루믹스 DMC-GX1, 파나소닉 루믹스 DMC-GX7, 파나소닉 루믹스 DMC-GX8, DMC-GX7MK2, DC-GX7MK3 |
GM 시리즈 | 초소형, 초경량 디자인을 강조한 모델 | 파나소닉 루믹스 DMC-GM1, 파나소닉 루믹스 DMC-GM1S, 파나소닉 루믹스 DMC-GM5 |
AVCCAM 시리즈 | 전문가용 비디오 촬영을 위한 캠코더 | 파나소닉 AG-AF100, 파나소닉 AG-AF105, 파나소닉 AG-AF105A |
5. 2. 1. G 시리즈
파나소닉 루믹스 DMC-G1은 2008년 11월에 발매된 마이크로 포서즈 시스템 최초의 카메라이다.[32] 35mm 필름 카메라의 뷰파인더 크기와 동일한 대형 전자식 뷰파인더(EVF)를 탑재했으며, 외관은 루믹스 DMC-L10과 비슷하다.파나소닉 루믹스 DMC-GH1[240]은 DMC-G1과 동일한 외형에 1080p 동영상 녹화 기능을 추가했다.[33]
이후, 파나소닉은 G 시리즈의 다양한 모델을 출시했다.
5. 2. 2. GH 시리즈
파나소닉 루믹스 DMC-GH1[240]은 파나소닉 루믹스 DMC-G1과 동일한 외형에 HD 비디오 녹화 기능을 탑재한 카메라로, 2009년 4월에 출시되었다.[33]5. 2. 3. GF 시리즈
- Panasonic Lumix DMC-GF1, - 2009년 9월[241]
- Panasonic LUMIX DMC-GF2, - 2010년 12월
- Panasonic LUMIX DMC-GF3, - 원문에 해당 내용 없음
- Panasonic LUMIX DMC-GF5, - 원문에 해당 내용 없음
- Panasonic LUMIX DMC-GF6, - 원문에 해당 내용 없음
- Panasonic LUMIX DMC-GF7, - 원문에 해당 내용 없음
- Panasonic LUMIX DMC-GF9, - 원문에 해당 내용 없음
- Panasonic LUMIX DMC-GF10, - 원문에 해당 내용 없음
5. 2. 4. GX 시리즈
- DMC-GX1 - 2011년 11월 출시[105]。DMC-GF1의 파생 고급 기종이다. G3의 신형 16MP 센서를 탑재하고 전자 수평계를 갖추고 있다. BLD10형 배터리를 사용한다.
- DMC-GX7 - 2013년 9월 13일 출시[106]。DMC-GX1의 후속 기종이다. 1/8000초 셔터, 틸트 EVF, 틸트 액정을 탑재하여 사실상 GX1의 상위 기종이다. GF6과 공통의 BLG10형 배터리를 사용한다.
- DMC-GX8 - 2015년 8월 20일 출시[107]。DMC-GX7의 후속 기종으로, 2030만 화소 센서와 바리어블 앵글 액정을 탑재했다. 렌즈(2축 O.I.S.)와 바디(4축 B.I.S.)의 6 컨트롤에 의한 손떨림 보정 기능 "Dual I.S."와 포커스 셀렉트 기능을 제공한다. GH2, G6과 공통의 BLC12형 배터리를 사용하며, 방진・방적 사양이지만 내장 플래시는 없다.
- DMC-GX7MK2 - 2016년 5월 18일 출시[108]。1600만 화소 센서를 탑재했으며, 로우 패스 필터가 없다. EVF는 고정식이고 내장 플래시가 있다.
- DC-GX7MK3 - 2018년 3월 15일 출시[109]。2030만 화소 센서와 틸트식 파인더, 블루투스 기능을 탑재했다.
5. 2. 5. GM 시리즈
- DMC-GM1: 2013년 11월 21일에 발매되었다.[110]
- DMC-GM1S: 2014년 11월 13일에 발매되었다.[111]
- DMC-GM5: 2014년 11월 13일에 발매되었다.[112]
5. 2. 6. 파나소닉 AVCCAM 시리즈
- 파나소닉 AG-AF100 - 2010년 말에 출시되었다.[73] 4/3인치 MOS 이미저를 탑재한 최초의 업무용 AVCHD 캠코더였다.
- 파나소닉 AG-AF105 - 2011년 6월 발매.[74] AG-AF100의 마이너 체인지 모델로, SDI 출력 시 리니어 PCM 기록, SMPTE 타임 코드 기록, 릴레이 기록, HD-SDI 동시 출력, 59.94Hz/50Hz 전환 등에 대응하도록 사양이 변경되었다.
- 파나소닉 AG-AF105A - AG-AF105의 마이너 체인지 모델로, 1080/60p・50p 프레임 레이트 기록, E.V.F. 고해상도화, 포커스 어시스트 기능 강화, 2.39:1 마커/세이프티 존 마커 표시, 줌 연동 마커 표시, REC S/S GAIN 기능 추가, 컬러 모니터의 컬러화, GUI 메뉴 고해상도화, 유저 버튼 추가, 푸시 오토 포커스 기능 추가 등 사양이 변경되었다.
5. 3. OM SYSTEM
2021년, 올림푸스의 이미징 사업부가 일본산업파트너스(JIP)에 인수되면서, 올림푸스의 카메라 및 렌즈 사업은 OM 디지털 솔루션즈로 이관되었다. 이에 따라, 기존 올림푸스 브랜드로 출시되던 제품군은 'OM SYSTEM' 브랜드로 변경되었다.5. 4. Blackmagic Design
블랙매직 디자인은 시네마그래피용 카메라를 제작, 판매하며 이 중 일부는 MFT 렌즈 마운트를 사용한다. 최초의 MFT 카메라는 1080HD 녹화 기능을 갖춘 블랙매직 포켓 시네마 카메라(BPCC)로, 2013년 4월에 발표되었다.[34]5. 5. YI Technology
샤오미는 2016년에 4K 비디오 기능을 갖춘 20MP MFT 카메라인 YI M1을 출시했다.[39]5. 6. JVC 켄우드
주어진 원본 소스에는 JVC 켄우드에 대한 내용이 없으므로, 섹션 내용을 작성할 수 없다. 따라서 이 섹션은 비워두거나, 마이크로 포서즈 시스템과 JVC 켄우드의 관계에 대한 추가적인 정보가 제공되어야 한다.5. 7. 아스트로 디자인
아스트로 디자인(Astrodesign)은 마이크로 포서즈 시스템에 참여하는 기업 중 하나이다.[29]5. 8. JK Imaging
2014년, 코닥 브랜드를 소유한 JK 이미징은 최초의 마이크로 포서즈 카메라인 코닥 픽스프로 S-1을 출시했다.[37] 여러 렌즈 및 틈새 카메라 제조사도 이 표준에 맞는 제품을 생산하고 있다.5. 9. YONGNUO
YONGNUO는 기준으로 마이크로 포서즈 시스템에 대한 약속을 가진 기업 목록에 포함되지 않았다.5. 10. Logitech International S.A.
주어진 원본 소스에는 "Logitech International S.A."에 대한 정보가 없으므로, 해당 섹션에 작성할 내용이 없다.6. 마이크로 포서즈 렌즈
다양한 제조사에서 마이크로 포서즈 시스템용 렌즈를 출시하고 있으며, 광각, 표준, 망원, 매크로, 어안 렌즈 등 다양한 종류의 렌즈가 있다.
어댑터 DMW-MA1/MMF-1,2,3을 통해 포서즈 렌즈를 마이크로 포서즈에서 사용할 수 있다. 일부 렌즈만 마이크로 포서즈 카메라에서 AF 기능을 사용할 수 있으며, 미지원 렌즈는 MF로만 사용할 수 있다. AF 지원 목록에 있는 포서즈 렌즈도 펌웨어가 지원하지 않을 경우 [http://panasonic.jp/support/global/cs/dsc/download/fts/ 펌웨어 업데이트]가 필요할 수 있다.
다음은 마이크로 포서즈 시스템 렌즈 제조사 목록이다.
- OM 디지털 솔루션즈 - 규격 제정 메이커.
- 파나소닉 - 규격 제정 메이커.
- 라이카 - 파나소닉에 라이센스 생산 형태로 교환 렌즈를 공급.
- 코시나 - 2010년 8월 26일에 규격 찬동을 표명[218], 같은 해 11월에 교환 렌즈를 발매[193] . 포크트랜더 사에서 취득한 상표권으로 Voigtländer 브랜드의 렌즈를 제조.
- 슈나이더 크로이츠나흐 - 2011년 2월 7일에 규격 찬동을 표명[219], 시네 시스템용 렌즈를 발매.
- 코마무라 상회 - 일본의 슈나이더 제품의 대리점. 2011년 2월 7일에 규격 찬동을 표명[219] .
- 칼 자이스 AG - 2011년 2월 7일에 규격 찬동을 표명[220], 시네 시스템용 렌즈를 발매.
- 시그마 - 포서즈 시스템 자체에는 2004년에 규격 찬동[221] . 2011년 2월에 마이크로 포서즈 시스템 규격용 렌즈의 개발을 발표[222] , 같은 달에 교환 렌즈를 발매[174] .
- 아스트로 디자인 - 2012년 1월에 규격 찬동을 표명[223] .
- 켄코·토키나 - 2012년 1월에 규격 찬동을 표명[223] . 같은 해 2월에 켄코 브랜드로 교환 렌즈를 발매[206] , 같은 해 5월에 토키나 브랜드의 교환 렌즈를 발매[205] .
- 탐론 - 2012년 1월에 규격 찬동을 표명[223] .
- 블랙매직 디자인 - 2013년 1월에 규격 찬동을 표명[224] .
- JK Imaging - 2013년 1월에 규격 찬동을 표명[224] . 포서즈 시스템의 제창 메이커인 이스턴 코닥의 브랜드의 디지털 카메라 등 소비자용 제품을 판매하고 있으며, 마이크로 포서즈 시스템에서도 코닥 브랜드로 바디와 렌즈를 발매[121] .
- 포토론 - 2013년 1월에 규격 찬동을 표명[224] .
- SVS-VISTEK - 2013년 1월에 규격 찬동을 표명[224] .
- 뷰플러스 - 2013년 1월에 규격 찬동을 표명[224] .
- 고와 광학 - 2014년 2월에 규격 찬동을 표명[225] . 마이크로 포서즈 마운트 대응 프로미너 렌즈의 개발을 발표하고 있다[226] .
- 토미텍 - 2014년 2월에 규격 찬동을 표명[225][227] . 필드, 천체용 망원 렌즈 "BORG"에 대응하는 마운트 어댑터를 발매.
- 켄코 프로페셔널 이미징 - 2014년 2월에 규격 찬동을 표명[225] . 코마무라 상회에서 계승한 사진 기재 판매 업무를 취급하는 외에, 모회사인 켄코·토키나 및 해외 메이커의 제품도 취급.
- JVC 켄우드 - 2014년 4월에 규격 찬동을 표명. "4K 대응 레코더/플레이어 분리형 카메라 레코더", "4K 핸드헬드 사이즈 카메라 레코더"의 개발을 진행[228] .
- DJI - 2015년 2월에 규격 찬동을 표명. 멀티콥터 및 프로용 휴대용 카메라 짐벌을 개발[229] .
- JCD Optical - 2015년 2월에 규격 찬동을 표명. 카메라 및 렌즈의 개발·생산[229] .
- 플로벨 - 2015년 2월에 규격 찬동을 표명. 초고감도 카메라 및 의료·바이오사이언스용 촬영 시스템 등의 개발·제조·시스템 구축[229] .
- 작티 - 2016년 2월에 규격 찬동을 표명[230] .
- 낙 이미지 테크놀로지 - 2016년 2월에 규격 찬동을 표명[230] .
- Autel - 2016년 2월에 규격 찬동을 표명[230] .
- Meitu - 2016년 2월에 규격 찬동을 표명[230] .
- 3db Hardware Technology - 2016년 2월에 규격 찬동을 표명[230] .
- Xiaoyi Shanghai Technology Co., Ltd. - 2016년 2월에 규격 찬동을 표명[231] .
- 샤프 - 2019년 4월에 규격 찬동을 표명. 8K 비디오 카메라의 시작기를 발표[232][233] .
- 융누오 - 2020년 2월에 규격 찬동을 표명. Android OS 탑재 카메라를 발표.[50]
- MEDIAEDGE - 2020년 2월에 규격 찬동을 표명.[50]
- 비너스 옵틱스 - 2020년 2월에 규격 찬동을 표명. LAOWA 브랜드의 렌즈를 전개.[50]
- 밍좡 광학 - 2022년 2월에 규격 찬동을 표명. TTArtisan 브랜드의 렌즈를 전개.[234]
- Logitech International S.A. - 2024년 3월에 규격 찬동을 표명. 라이브 스트리밍용 카메라 "Mevo Core"를 미국과 캐나다에서 발매[124] .
- SIRUI - 2024년 5월에 규격 찬동을 표명[235] .
자세한 렌즈 목록은 Micro Four Thirds 렌즈 목록 문서를 참조.
6. 1. 광각 줌 렌즈
DSLR보다 플랜지 초점 거리가 짧은 마이크로 포서즈 시스템 카메라의 특성 덕분에, 대부분의 렌즈는 더 작고 저렴하게 제작될 수 있다.이러한 특징을 잘 보여주는 렌즈로는 파나소닉 7–14mm 광각 렌즈 (35mm 필름 형식 환산 시 14–28mm에 해당)와 올림푸스 M.Zuiko Digital ED 9–18mm 광각 렌즈 (35mm 필름 형식 환산 시 18–36mm 줌 렌즈에 해당)가 있다. 또한, 렌즈 디자이너들은 자동 초점 기능을 갖춘 세계에서 가장 빠른 어안 렌즈인 올림푸스 ED 8mm f/1.8을 개발할 수 있었다.
다음은 마이크로 포서즈 시스템에서 사용 가능한 광각 줌 렌즈 목록이다.
- 파나소닉: LUMIX G VARIO 7-14mm/F4.0 ASPH.[125]
- 올림푸스: M.ZUIKO DIGITAL ED 7-14mm F2.8 PRO[126]
- 파나소닉: LEICA DG VARIO-ELMARIT 8-18mm/F2.8-4.0 ASPH.[127]
- 올림푸스: M.ZUIKO DIGITAL ED 9-18mm F4.0-5.6[128]
6. 2. 표준 렌즈
마이크로 포서즈 시스템 카메라의 플랜지 초점 거리가 DSLR보다 짧기 때문에 대부분의 렌즈가 더 작고 저렴하다.이러한 특징을 잘 보여주는 렌즈로는 파나소닉 7–14mm 광각 렌즈(35mm 필름 형식에서 14–28mm에 해당)와 올림푸스 M.Zuiko Digital ED 9–18mm 광각 렌즈(35mm 필름 형식에서 18–36mm 줌 렌즈에 해당)가 있다. 또한, 렌즈 디자이너들은 자동 초점 기능을 갖춘 세계에서 가장 빠른 어안 렌즈인 올림푸스 ED 8mm f/1.8을 개발할 수 있었다.
망원 렌즈의 경우, 파나소닉 100–300mm 또는 라이카 DG 100-400mm 및 올림푸스 75–300mm 줌 렌즈는 극단적인 망원 렌즈가 얼마나 작고 가볍게 만들어질 수 있는지 보여준다. 마이크로 포서즈 시스템의 400mm 초점 거리는 풀프레임 카메라의 800mm 초점 거리와 동일한 시야각을 갖는다.
유사한 시야각을 제공하는 풀프레임 카메라 렌즈와 비교했을 때, 몇 킬로그램(몇 파운드)의 무게가 나가고 일반적으로 길이가 60cm를 초과하는 것과 달리, 광학식 손떨림 보정 기능이 있는 파나소닉 루믹스 G 바리오 100–300mm 렌즈는 무게가 520g에 불과하고 길이가 126mm이며, 비교적 작은 67mm 필터 크기를 사용한다.[41] 비교를 위해, 1964년 도쿄 올림픽을 위해 출시된 Nikkor-P 600mm f5.6 망원 렌즈는 무게가 3600g이고 길이가 516.5mm이며 122mm 필터를 사용한다.[42]


표준 줌 렌즈는 다음과 같다.
6. 3. 고배율 줌 렌즈
마이크로 포서즈 시스템 카메라의 플랜지 초점 거리가 DSLR보다 짧기 때문에 대부분의 렌즈가 더 작고 저렴하다. 망원 렌즈의 경우, 파나소닉 100–300mm 또는 라이카 DG 100-400mm 및 올림푸스 75–300mm 줌 렌즈는 극단적인 망원 렌즈가 얼마나 작고 가볍게 만들어질 수 있는지 보여준다. 마이크로 포서즈 시스템의 400mm 초점 거리는 풀프레임 카메라의 800mm 초점 거리와 동일한 시야각을 갖는다.광학식 손떨림 보정 기능이 있는 파나소닉 루믹스 G 바리오 100–300mm 렌즈는 무게가 520g에 불과하고 길이가 126mm이며, 비교적 작은 67mm 필터 크기를 사용한다.[41]
마이크로 포서즈 시스템용 고배율 줌 렌즈는 다음과 같다.
제조사 | 제품명 |
---|---|
올림푸스 | M.ZUIKO DIGITAL ED 12-100mm F4.0 IS PRO[145] |
파나소닉 | LUMIX G VARIO 14-140mm/F3.5-5.6 ASPH./POWER O.I.S.[146] |
LUMIX G VARIO 14-140mm/F3.5-5.6 Ⅱ ASPH./POWER O.I.S. | |
LUMIX G VARIO HD 14-140mm/F4.0-5.8 ASPH./MEGA O.I.S.[125] | |
탐론 | 14-150mm F/3.5-5.8 Di III[147] |
올림푸스 | M.ZUIKO DIGITAL ED 14-150mm F4.0-5.6[128] |
M.ZUIKO DIGITAL ED 14-150mm F4.0-5.6 II[148] | |
M.ZUIKO DIGITAL ED 12-200mm F3.5-6.3 |
6. 4. 망원 줌 렌즈
마이크로 포서즈 시스템 카메라의 플랜지 초점 거리가 DSLR보다 짧기 때문에 대부분의 렌즈가 더 작고 저렴하다.망원 렌즈의 경우, 파나소닉 100–300mm 또는 라이카 DG 100-400mm 및 올림푸스 75–300mm 줌 렌즈는 극단적인 망원 렌즈가 얼마나 작고 가볍게 만들어질 수 있는지 보여준다. 마이크로 포서즈 시스템의 400mm 초점 거리는 풀프레임 카메라의 800mm 초점 거리와 동일한 시야각을 갖는다.
유사한 시야각을 제공하는 풀프레임 카메라 렌즈와 비교했을 때, 몇 킬로그램(몇 파운드)의 무게가 나가고 일반적으로 길이가 60cm를 초과하는 것과 달리, 광학식 손떨림 보정 기능이 있는 파나소닉 루믹스 G 바리오 100–300mm 렌즈는 무게가 520g에 불과하고 길이가 126mm이며, 비교적 작은 67mm 필터 크기를 사용한다.[41] 비교를 위해, 1964년 도쿄 올림픽을 위해 출시된 Nikkor-P 600mm f5.6 망원 렌즈는 무게가 3600g이고 길이가 516.5mm이며 122mm 필터를 사용한다.[42]
다음은 마이크로 포서즈 시스템의 망원 줌 렌즈 목록이다.
제조사 | 제품명 | 조리개 | 손떨림 보정 | 비고 |
---|---|---|---|---|
파나소닉 | LUMIX G X VARIO 35-100mm/F2.8/POWER O.I.S.[149] | F2.8 | O.I.S | |
파나소닉 | LUMIX G VARIO 35-100mm/F4.0-5.6 ASPH./MEGA O.I.S[150] | F4.0-5.6 | MEGA O.I.S | |
올림푸스 | M.ZUIKO DIGITAL ED 40-150mm F2.8 PRO[151] | F2.8 | - | |
올림푸스 | M.ZUIKO DIGITAL ED 40-150mm F4.0-5.6[152][133] | F4.0-5.6 | - | |
올림푸스 | M.ZUIKO DIGITAL ED 40-150mm F4.0-5.6 R[139][133] | F4.0-5.6 | - | |
파나소닉 | LUMIX G VARIO 45-150mm/F4.0-5.6 ASPH./MEGA O.I.S.[153][133] | F4.0-5.6 | MEGA O.I.S | |
파나소닉 | LUMIX G VARIO 45-200mm/F4.0-5.6 II/POWER O.I.S. | F4.0-5.6 | POWER O.I.S | |
파나소닉 | LUMIX G X VARIO PZ 45-175mm/F4.0-5.6 ASPH./POWER O.I.S.[143][133] | F4.0-5.6 | POWER O.I.S | |
파나소닉 | LUMIX G VARIO 45-200mm/F4.0-5.6/MEGA O.I.S.[48][154] | F4.0-5.6 | MEGA O.I.S | |
파나소닉 | LEICA DG VARIO-ELMARIT 50-200mm/F2.8-4.0 ASPH./POWER O.I.S. | F2.8-4.0 | POWER O.I.S | |
올림푸스 | M.ZUIKO DIGITAL ED 75-300mm F4.8-6.7[152][133] | F4.8-6.7 | - | |
올림푸스 | M.ZUIKO DIGITAL ED 75-300mm F4.8-6.7 II[155] | F4.8-6.7 | - | |
파나소닉 | LUMIX G VARIO 100-300mm/F4.0-5.6/MEGA O.I.S.[156] | F4.0-5.6 | MEGA O.I.S | |
파나소닉 | LUMIX G VARIO 100-300mm/F4.0-5.6 II/POWER O.I.S. | F4.0-5.6 | POWER O.I.S | |
파나소닉 | LEICA DG VARIO-ELMAR 100-400mm/F4.0-6.3 ASPH./POWER O.I.S.[157] | F4.0-6.3 | POWER O.I.S | |
올림푸스 | M.ZUIKO DIGITAL ED 100-400mm F5.0-6.3 IS | F5.0-6.3 | IS | |
올림푸스 | M.ZUIKO DIGITAL ED 150-400mm F4.5 TC1.25×IS PRO | F4.5 | IS |
6. 5. 단초점 렌즈
올림푸스, 파나소닉, 라이카 및 시그마 등 여러 회사에서 마이크로 포서즈 시스템용 단초점 렌즈를 출시하고 있다. 다음은 주요 단초점 렌즈 목록이다.제조사 | 제품명 | 조리개 값 | 비고 |
---|---|---|---|
올림푸스 | M.ZUIKO DIGITAL ED 8mm F1.8 Fisheye PRO[158] | F1.8 | |
파나소닉 | LUMIX G FISHEYE 8mm/F3.5[159] | F3.5 | |
올림푸스 | M.ZUIKO DIGITAL ED 12mm F2.0[160] | F2.0 | |
파나소닉 | LEICA DG SUMMILUX 12mm/F1.4 ASPH.[161] | F1.4 | |
파나소닉 | LUMIX G 14mm/F2.5 ASPH.[156][154] | F2.5 | |
LUMIX G 14mm/F2.5 II ASPH.[164] | |||
파나소닉 | LEICA DG SUMMILUX 15mm/F1.7 ASPH.[165] | F1.7 | |
시그마 | 16mm F1.4 DC DN ART | F1.4 | |
올림푸스 | M.ZUIKO DIGITAL ED 17mm F1.2 PRO | F1.2 | |
M.ZUIKO DIGITAL 17mm F1.8[166] | F1.8 | ||
M.ZUIKO DIGITAL 17mm F2.8[134][133] | F2.8 | ||
시그마 | SIGMA 19mm F2.8 EX DN[167] | F2.8 | |
SIGMA 19mm F2.8 DN[168] | |||
파나소닉 | LUMIX G 20mm/F1.7 ASPH.[169] | F1.7 | |
LUMIX G 20mm/F1.7 II ASPH.[170] | |||
파나소닉 | LEICA DG SUMMILUX 25mm/F1.4 II ASPH[171] | F1.4 | |
LEICA DG SUMMILUX 25mm/F1.4 ASPH.[172] | |||
올림푸스 | M.ZUIKO DIGITAL ED 25mm F1.2 PRO[145] | F1.2 | |
M.ZUIKO DIGITAL 25mm F1.8[173] | F1.8 | ||
시그마 | 30mm F1.4 DC DN ART | F1.4 | |
시그마 | SIGMA 30mm F2.8 EX DN[174] | F2.8 | |
SIGMA 30mm F2.8 DN[168] | |||
파나소닉 | LUMIX G 42.5mm / F1.7 ASPH. / POWER O.I.S.[175] | F1.7 | |
YONGNUO | YN 42.5mm F1.7 | F1.7 | |
파나소닉 | LEICA DG NOCTICRON 42.5mm/F1.2[176] | F1.2 | |
올림푸스 | M.ZUIKO DIGITAL 45mm F1.8[177] | F1.8 | |
시그마 | SIGMA 56mm F1.4 DC DN ART | F1.4 | |
시그마 | SIGMA 60mm F2.8 DN[178] | F2.8 | |
올림푸스 | M.ZUIKO DIGITAL ED 75mm F1.8[179] | F1.8 | |
올림푸스 | M.ZUIKO DIGITAL ED 300mm F4.0 IS PRO[180] | F4.0 |
슈나이더 크로이츠나흐에서 Super-Angulon 2,0/14, Xenon 1,4/30, Makro Symmar 2,4/60 개발을 발표했으나,[162] 중단되어 발매되지 않았다.[163] 파나소닉에서 LEICA DG ELMARIT 200mm/F2.8/POWER O.I.S. 개발을 발표했다.
6. 6. 매크로 렌즈
마이크로 포서즈 시스템을 위한 매크로 렌즈는 올림푸스, 파나소닉 등에서 출시되고 있다. 주요 제품은 다음과 같다.제조사 | 제품명 |
---|---|
파나소닉(Panasonic) | LUMIX G MACRO 30mm / F2.8 ASPH. / MEGA O.I.S.[181] |
올림푸스(Olympus) | M.ZUIKO DIGITAL ED 30mm F3.5 Macro[145] |
파나소닉(Panasonic) | LEICA DG MACRO-ELMARIT 45mm/F2.8 ASPH./MEGA O.I.S.[169] |
올림푸스(Olympus) | M.ZUIKO DIGITAL ED 60mm F2.8 Macro[182] |
슈나이더・크로이츠나흐(Schneider-Kreuznach) | Makro-Symmar 2,4/60[162] (개발 발표되었지만 미발매) |
6. 7. 메뉴얼 포커스 렌즈
삼양옵틱스, 복트렌더, 중일광학, SLR 매직 등 여러 서드파티 제조사에서 마이크로 포서즈 시스템용 수동 초점 렌즈를 출시하고 있다.[183][184][185][186][187][188][189][190][191][192][193][194][195][196][197][198][199][200][201][202][203][204][205][206]제조사 | 제품명 | 초점 거리 | 조리개 값 |
---|---|---|---|
Laowa(비너스 옵틱스) | LAOWA 4mm F2.8 Fisheye MFT | 4mm | F2.8 |
삼양옵틱스 | SAMYANG 7.5 mm f/3.5 Fish-Eye | 7.5mm | f/3.5 |
Laowa(비너스 옵틱스) | LAOWA 7.5mm F2 MFT | 7.5mm | F2 |
삼양옵틱스 | SAMYANG 8 mm f/3.5 UMC Fish-Eye CS II | 8mm | f/3.5 |
KOWA | PROMINAR 8.5mm F2.8 | 8.5mm | F2.8 |
Laowa(비너스 옵틱스) | LAOWA 9mm F2.8 ZERO-D MFT | 9mm | F2.8 |
LAOWA 10mm F2.0 Zero-D MFT | 10mm | F2.0 | |
SLR 매직 | Toy Lens 11mm f/1.4 | 11mm | f/1.4 |
HyperPrime 12mm F1.6 | 12mm | F1.6 | |
삼양옵틱스 | SAMYANG 12 mm f/2.0 NCS CS | 12mm | f/2.0 |
SAMYANG 12 mm f/2.8 ED AS NCS Fish-Eye | 12mm | f/2.8 | |
SAMYANG MF 14 mm F2.8 MK2 | 14mm | F2.8 | |
KOWA | PROMINAR 12mm F1.8 | 12mm | F1.8 |
Laowa(비너스 옵틱스) | LAOWA 17mm F1.8 MFT | 17mm | F1.8 |
복트렌더(코시나) | NOKTON 17.5mm F0.95 | 17.5mm | F0.95 |
삼양옵틱스 | SAMYANG 20 mm f/1.8 ED AS UMC | 20mm | f/1.8 |
SAMYANG 21 mm f/1.4 ED AS UMC CS | 21mm | f/1.4 | |
SLR Magic | HyperPrime 23mm F1.7 | 23mm | F1.7 |
복트렌더(코시나) | NOKTON 25mm F0.95 | 25mm | F0.95 |
NOKTON 25mm F0.95 Type II | 25mm | F0.95 | |
복트렌더(코시나) | SUPER NOKTON 29mm F0.8 Aspherical | 29mm | F0.8 |
삼양옵틱스 | SAMYANG TILT/SHIFT 24 mm f/3.5 ED AS UMC | 24mm | f/3.5 |
홀가 | HL(W)-OP / HL(W)-PLG | 25mm | - |
KOWA | PROMINAR 25mm F1.8 | 25mm | F1.8 |
중일광학 | SPEEDMASTER 25mm F0.95 | 25mm | F0.95 |
SLR Magic | TOY lens 26mm f/1.4 | 26mm | f/1.4 |
중일광학 | Speedmaster (MITAKON) 35mm F0.95 | 35mm | F0.95 |
삼양옵틱스 | SAMYANG 35 mm f/1.2 ED AS UMC CS | 35mm | f/1.2 |
SAMYANG 35 mm f/1.4 AS UMC | 35mm | f/1.4 | |
SLR Magic | 35mm f/1.7 | 35mm | f/1.7 |
KIPON | HANDEVISION IBELUX 40mm/f0.85 | 40mm | f/0.85 |
복트렌더(코시나) | NOKTON 42.5mm F0.95 | 42.5mm | F0.95 |
중일광학 | FREEWALKER 42.5mm F1.2 | 42.5mm | F1.2 |
SLR Magic | NOKTOR HyperPrime 50mm f/0.95 | 50mm | f/0.95 |
삼양옵틱스 | SAMYANG 50 mm f/1.4 AS UMC | 50mm | f/1.4 |
SAMYANG 50 mm f/1.2 AS UMC CS | 50mm | f/1.2 | |
복트렌더(코시나) | SUPER NOKTON 60mm F0.95 | 60mm | F0.95 |
삼양옵틱스 | SAMYANG 85 mm f/1.8 ED UMC CS | 85mm | f/1.8 |
SAMYANG MF 85 mm F1.4 MK2 | 85mm | F1.4 | |
삼양옵틱스 | SAMYANG 100 mm f/2.8 ED UMC Macro | 100mm | f/2.8 |
삼양옵틱스 | SAMYANG 135 mm f/2.0 ED UMC | 135mm | f/2.0 |
토키나 | Tokina Reflex 300mm F6.3 MF MACRO (반사 망원 렌즈) | 300mm | F6.3 |
켄코 | Kenko 미러 렌즈 400mm F8 (반사 망원 렌즈) | 400mm | F8 |
6. 8. 기타 렌즈
마이크로 포서즈 시스템 카메라는 플랜지 초점 거리가 짧아 대부분의 렌즈가 작고 저렴하다. 이러한 특징을 잘 보여주는 렌즈로는 파나소닉 7–14mm 광각 렌즈(35mm 필름 형식 환산 14-28mm), 올림푸스 M.Zuiko Digital ED 9–18mm 광각 렌즈(35mm 필름 형식 환산 18–36mm)가 있다. 또한, 올림푸스 ED 8mm f/1.8과 같이 자동 초점 기능을 갖춘 세계에서 가장 빠른 어안 렌즈 개발도 가능하게 했다.망원 렌즈의 경우, 파나소닉 100–300mm 또는 라이카 DG 100-400mm 및 올림푸스 75–300mm 줌 렌즈는 매우 작고 가볍게 만들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마이크로 포서즈 시스템의 400mm 초점 거리는 풀프레임 카메라의 800mm 초점 거리와 동일한 시야각을 갖는다.
광학식 손떨림 보정 기능이 있는 파나소닉 루믹스 G 바리오 100–300mm 렌즈는 무게가 520g에 불과하고 길이가 126mm이며, 비교적 작은 67mm 필터 크기를 사용한다.[41] 이는 유사한 시야각을 제공하는 풀프레임 카메라 렌즈가 몇 킬로그램(몇 파운드)의 무게와 60cm를 초과하는 길이[42]를 갖는 것과 비교된다.
마이크로 포서즈 시스템은 찬동 기업 외에도 서드파티에서도 다양한 렌즈를 출시하고 있다. 다음은 그 목록이다.
제조사 | 제품명 | 비고 |
---|---|---|
파나소닉 | LUMIX G 12.5mm/F12 | 3D 렌즈[156] |
야스하라 제작소 | NANOHAx5 | 초 매크로 렌즈[207] |
MADOKA180 | 전주 어안 렌즈[208] | |
MOMO100 | 소프트 포커스 렌즈[209] | |
렌즈베이(:en:Lensbaby) | Composer with Tilt Transformer | 틸트 렌즈[210] |
Composer Pro | 틸트 렌즈[211] | |
B.I.G. | B.I.G. SHIFT LENS 4,5/15mm MFT | 시프트 렌즈[212] |
Wanderlust Cameras | Pinwide | 핀홀 렌즈[213] |
SLR Magic | Toy Lens Pinhole Lens | 핀홀 렌즈[214] |
Rising | 핀홀 렌즈 스탠다드 | 핀홀 렌즈[215] |
핀홀 렌즈 Wide | 핀홀 렌즈[215] | |
핀홀 렌즈 Wide V | 핀홀 렌즈[215] | |
올림푸스 | BCL-1580 | 바디 캡 렌즈[216] |
BCL-0980 | 피쉬아이 바디 캡 렌즈[69] | |
로모그래피 | Experimental Lens Kit | [217] |
6. 9. 마운트 어댑터
MFT 시스템은 19.25mm의 백 포커스를 가진 베이요넷 타입 렌즈 마운트를 규정한다. 내부 거울을 없앰으로써, MFT 규격은 훨씬 더 얇은 카메라 바디를 가능하게 한다.[10]마이크로 포서즈 렌즈 마운트는 얕지만 넓어 라이카 M, 라이카 R, 올림푸스 OM 시스템 렌즈를 파나소닉 및 올림푸스 어댑터를 통해 사용할 수 있다. 시판 어댑터로는 라이카 스크류 마운트, 콘탁스 G, C 마운트, Arri PL 마운트, 프락티카, 캐논, 니콘, 펜탁스 등이 있다.[10] 실제로 플랜지 초점 거리가 20mm보다 크거나 약간 작은 거의 모든 사진, 영화 또는 비디오 카메라의 렌즈를 어댑터를 통해 MFT 바디에 사용할 수 있다. MFT 카메라는 이러한 "구형" 렌즈를 수동 초점 및 수동 조리개 제어 모드로만 사용할 수 있지만, 더 이상 생산되지 않는 카메라용으로 설계된 렌즈를 포함하여 수백 개의 렌즈를 사용할 수 있다.
마이크로 포서즈 시스템은 짧은 플랜지 백을 가지고 있어, 거의 모든 포맷의 어댑터 렌즈를 사용하는 것이 널리 보급되었다. 구형 및 단종된 카메라 시스템의 렌즈를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어댑터 렌즈는 일반적으로 가격 대비 성능이 좋다. 저품질부터 고품질까지 다양한 어댑터가 온라인에서 쉽게 구매 가능하다. 캐논 FD, 니콘 F (G 렌즈는 특수 어댑터 필요), MD/MC, 라이카 M, M42 스크류 마운트, C-마운트 시네 렌즈는 모두 유리 없는 어댑터를 사용하여 마이크로 포서즈 시스템에 쉽게 장착할 수 있으며, 빛 손실이나 선명도 저하가 없다.
어댑터 렌즈는 고유의 초점 거리를 유지하지만 화각이 절반으로 줄어든다. 즉, 어댑터 50mm 렌즈는 초점 거리 측면에서 여전히 50mm 렌즈이지만, 마이크로 포서즈 시스템의 2배 크롭 팩터로 인해 100mm 렌즈에 해당하는 좁은 화각을 갖는다. 따라서 35mm 필름 시대의 대부분의 어댑터 렌즈와 현재 DSLR 라인업은 표준에서 초망원까지 다양한 유효 화각을 제공한다. 광각 렌즈는 이미지 품질과 가치 측면에서 어댑터 사용에 일반적으로 실용적이지 않다.
구형 어댑터 렌즈를 마이크로 포서즈에 사용하면 이미지 품질이 약간 저하될 수 있다. 이는 수십 년 된 35mm 렌즈의 중앙부 크롭에 고해상도 요구 사항을 적용한 결과이다. 따라서 렌즈의 100% 크롭은 일반적으로 네이티브 포맷에서와 같은 수준의 픽셀 단위 선명도를 나타내지 않는다. 어댑터 렌즈 사용의 또 다른 약간의 단점은 크기이다. 35mm 필름 렌즈를 사용하면 마이크로 포서즈 센서에서 필요로 하는 것보다 훨씬 더 큰 이미지 원을 투사하는 렌즈를 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어댑터 렌즈 사용의 주요 단점은 네이티브 자동 초점 렌즈조차도 수동 초점이라는 것이다. 하지만 모든 측광 기능이 유지되며, 일부 자동 촬영 모드 (조리개 우선)도 지원된다.
마이크로 포서즈 시스템 바디에 대해, 다음 렌즈용 마운트 어댑터가 순정 옵션으로 출시되어 있다.
- 포서즈 시스템 (올림푸스, 파나소닉)
- 올림푸스 OM 시스템 (올림푸스)
- 라이카 M 시스템 (파나소닉)
- 라이카 R 시스템 (파나소닉)
플랜지백의 짧음을 활용하여, 순정품 외에도 서드파티에서 다종다양한 렌즈 마운트용 어댑터가 출시되어 있다.
- 니콘 F 마운트
- 펜탁스 K 마운트
- 캐논 FD 마운트
- 올림푸스 PEN-F
참조
[1]
웹사이트
Olympus / Panasonic announce Micro Four Thirds
https://www.dpreview[...]
2008-08-05
[2]
press release
Panasonic introduces AG-AF100
http://www2.panasoni[...]
Panasonic
2012-05-19
[3]
웹사이트
The Online Photographer: Micro Four-Thirds and Telecentricity
https://theonlinepho[...]
2011-08-11
[4]
웹사이트
No more compromises: The Four Thirds Standard
http://www.olympus-e[...]
Olympus Europe
2007-11-09
[5]
웹사이트
Interview
http://www.a-digital[...]
2002-10-01
[6]
웹사이트
Panasonic Lumix DMC-GH1 Review
http://www.dpreview.[...]
2012-05-19
[7]
웹사이트
Panasonic DMC-GH2 Review
http://www.dpreview.[...]
2012-05-19
[8]
웹사이트
JK Imaging, Blackmagic Design and others join Micro Four Thirds
http://www.dpreview.[...]
Digital Photography Review
2015-06-24
[9]
간행물
MFT products
Four Thirds consortium
2009-02-24
[10]
웹사이트
Adapters for Micro Four Thirds Cameras
http://www.novoflex.[...]
Novoflex
2012-05-19
[11]
웹사이트
Micro Four Thirds Mount Technical Drawing and CAD
https://salvagedcirc[...]
2022-12-25
[12]
웹사이트
Interchangeable Lenses – Chromatic Aberration Compensation - Essential technologies of lens designs that enhance resolving power
http://www.nikon.com[...]
nikon.com
2016-09-13
[13]
서적
Refractive Errors—Advances in Research and Treatment
Scholarly Editions
2013
[14]
웹사이트
Why is the Micro Four Thirds sensor so sharp in spite of its small size
http://www.four-thir[...]
2016-09-13
[15]
웹사이트
Äquivalente Brennweite
https://de.wikibooks[...]
2016-01-17
[16]
웹사이트
Äquivalente Blendenzahl
https://de.wikibooks[...]
2016-01-17
[17]
웹사이트
Äquivalente Lichtempfindlichkeit
https://de.wikibooks[...]
2016-01-17
[18]
웹사이트
What is equivalence and why should I care?
http://www.dpreview.[...]
dpreview.com
2014-07-07
[19]
웹사이트
Optical Viewfinders (OVFs) vs. Electronic Viewfinders (EVFs)
http://www.discoverd[...]
2015-02-19
[20]
웹사이트
Olympus Press Pass: Press Release
http://www.olympusam[...]
Olympus America
2012-05-19
[21]
웹사이트
Swing Into Action! Olympus Unleashes The Highly Anticipated PEN E-PL3 Camera Featuring Tilting LCD And The New VF-3 Electronic Viewfinder
http://www.olympusam[...]
Olympus America CCS Department
2011-07-27
[22]
웹사이트
Pressroom
http://www2.panasoni[...]
Panasonic USA
2012-05-19
[23]
서적
Photography Buying Guide: How to Choose a Camera, Lens, Tripod, Flash & More
https://books.google[...]
Mason Press
2014-12-27
[24]
뉴스
Olympus E-M5 Review
http://www.dpreview.[...]
[25]
뉴스
Olympus E-M1X Review
https://www.imaging-[...]
Imaging Resource
2019-01-24
[26]
웹사이트
Mirrorless vs DSLR
https://photographyl[...]
2015-02-19
[27]
웹사이트
Migrating to Mirrorless: Death of the DSLR
http://www.digitalca[...]
2015-02-19
[28]
간행물
M-Zuiko Digital ED 45mm f/1.8
http://www.getolympu[...]
Olympus
[29]
간행물
Astrodesign
http://www.olympus-g[...]
Olympus
[30]
간행물
Yasuhara
http://www.yasuhara.[...]
[31]
뉴스
JK Imaging, Blackmagic Design and others join Micro Four Thirds
http://www.dpreview.[...]
Digital Photography Review
2015-06-24
[32]
웹사이트
Panasonic Lumix G1 reviewed
http://www.dpreview.[...]
Digital Photography Review
[33]
뉴스
Panasonic premieres DMC-GH1 with HD video recording
http://www.dpreview.[...]
Digital Photography Review
2009-03-11
[34]
보도자료
Blackmagic Design Announces Blackmagic Pocket Cinema Camera
https://www.blackmag[...]
Blackmagic Design
2024-01-09
[35]
웹사이트
evo8051CFLGEC67TR
https://www.svs-vist[...]
2024-01-09
[36]
웹사이트
Industrial Cameras: SVCam-Product Line made by SVS-VISTEK
https://www.alliance[...]
Alliance Vision
2024-01-09
[37]
웹사이트
Kodak Pixpro S-1 First Impressions Review
http://www.dpreview.[...]
2014-09-30
[38]
웹사이트
DJI unveils custom aerial Micro Four Thirds camera
https://www.engadget[...]
2015-09-11
[39]
웹사이트
小蚁微单相机M1
http://www.xiaoyi.co[...]
2016-09-26
[40]
뉴스
Z-Camera E1 Review
https://www.videomak[...]
2024-01-09
[41]
웹사이트
Digital Interchangeable Lenses
http://panasonic.net[...]
Panasonic
2012-05-19
[42]
웹사이트
600 mm f5.6 Nikkor-P Auto Telephoto Lens
http://www.mir.com.m[...]
Mir
2012-05-19
[43]
웹사이트
EISA Awards Photography
https://www.eisa.eu/[...]
2016-11-12
[44]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www.olympusam[...]
2011-02-22
[45]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www.olympusam[...]
2011-02-22
[46]
웹사이트
Panasonic announces development of world's first interchangeable 3D lens for Lumix G Micro system
http://www2.panasoni[...]
Panasonic
[47]
간행물
オリンパスイメージングと松下電器 「マイクロフォーサーズシステム規格」を策定
http://www.olympus.c[...]
オリンパスイメージング株式会社
2012-09-18
[48]
간행물
デジタルカメラ LUMIX DMC-G1K/G1W/G1を発売
https://news.panason[...]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2012-09-18
[49]
웹사이트
Micro Four Thirdsの高画質
https://www.four-thi[...]
Four Thirds
2021-01-09
[50]
웹사이트
マイクロフォーサーズ規格賛同企業が拡大 YONGNUO / MEDIAEDGE / Venus Opticsの3社
https://dc.watch.imp[...]
2020-05-06
[51]
간행물
世界最小・最軽量のレンズ交換式デジタルカメラ※ “マイクロ一眼”「オリンパス・ペン E-P1」を発売
http://www.olympus.c[...]
オリンパスイメージング株式会社
2012-09-23
[52]
간행물
「ライブファインダー」スタイルを実現。マイクロ一眼「OLYMPUS PEN E-P2」を発売
http://www.olympus.c[...]
オリンパスイメージング株式会社
2012-09-23
[53]
간행물
世界最高速AF※を実現。上質さを極めたPENシリーズ最上位機「OLYMPUS PEN E-P3」を発売
http://www.olympus.c[...]
オリンパスイメージング株式会社
2012-09-23
[54]
간행물
PENシリーズ最上級機「OLYMPUS PEN E-P5」発売
http://www.olympus.c[...]
オリンパスイメージング株式会社
2013-05-13
[55]
간행물
新インターフェース「ライブガイド」を採用。新世代マイクロ一眼 「OLYMPUS PEN Lite E-PL1」を発売
http://www.olympus.c[...]
オリンパスイメージング株式会社
2012-09-09
[56]
간행물
新世代マイクロ一眼 「OLYMPUS PEN Lite E-PL1s」を発売
http://www.olympus.c[...]
オリンパスイメージング株式会社
2012-09-23
[57]
간행물
"新世代マイクロ一眼"「OLYMPUS PEN Lite E-PL2」を発売
http://www.olympus.c[...]
オリンパスイメージング株式会社
2012-09-23
[58]
뉴스
オリンパス、「E-PL3」「M.ZUIKO DIGITAL ED 40-150mm F4.0-5.6」「VF-3」を9月3日に発売
https://dc.watch.imp[...]
Impress Watch
2012-09-23
[59]
간행물
「タッチAFシャッター」、「"自分撮り"液晶」搭載。「OLYMPUS PEN Lite E-PL5」を発売
http://www.olympus.c[...]
オリンパスイメージング株式会社
2012-09-23
[60]
간행물
充実の新機能で写真がもっと楽しくなる「OLYMPUS PEN Lite E-PL6」発売
http://www.olympus.c[...]
オリンパスイメージング株式会社
2013-05-13
[61]
간행물
オリンパス ニュースリリース: 「OLYMPUS PEN Lite E-PL7」発売
http://www.olympus.c[...]
オリンパスイメージング株式会社
2015-12-29
[62]
간행물
ミラーレス一眼カメラ「OLYMPUS PEN E-PL8」および関連製品発売日決定のお知らせ
https://www.olympus.[...]
オリンパスイメージング株式会社
2017-09-17
[63]
간행물
高い表現力とシンプルで上質なデザインを備えた小型・軽量ミラーレス一眼カメラ「OLYMPUS PEN E-PL9」発売
https://www.olympus.[...]
オリンパスイメージング株式会社
2018-11-12
[64]
뉴스
オリンパス、小型ミラーレスカメラ「E-PM1」の発売日を10月7日に決定
https://dc.watch.imp[...]
Impress Watch
2012-09-23
[65]
간행물
「タッチAFシャッター」搭載。手軽に使えるエントリーPEN「OLYMPUS PEN mini E-PM2」を発売
http://www.olympus.c[...]
オリンパスイメージング株式会社
2012-09-23
[66]
간행물
ミラーレス一眼カメラ「OLYMPUS PEN-F」発売
http://www.olympus.c[...]
オリンパスイメージング株式会社
2017-09-17
[67]
간행물
高性能電子ビューファインダー搭載、マイクロ一眼 「OLYMPUS OM-D」を発売
http://www.olympus.c[...]
オリンパスイメージング株式会社
2012-09-23
[68]
간행물
従来型一眼レフを統合するミラーレスのフラッグシップ機 「OLYMPUS OM-D E-M1」発売
http://www.olympus.c[...]
オリンパスイメージング株式会社
2013-10-19
[69]
간행물
“ 手の中の、プレミアム。 ”「OM-D E-M10」 発売
http://www.olympus.c[...]
オリンパスイメージング株式会社
2014-02-09
[70]
간행물
「OLYMPUS OM-D E-M5 Mark II」を発売
http://www.olympus.c[...]
オリンパスイメージング株式会社
2015-12-29
[71]
간행물
オリンパス ニュースリリース: 5軸手ぶれ補正がぶれない高画質を提供 家族のためのミラーレス一眼カメラ「OM-D E-M10 Mark II」発売
http://www.olympus.c[...]
オリンパスイメージング株式会社
2015-08-25
[72]
간행물
オリンパス ニュースリリース: AF/AE追従で最高18コマ/秒の高速連写を実現 ミラーレス一眼カメラ「OLYMPUS OM-D E-M1 MarkII」を開発 121点オールクロス像面位相差AF搭載のフラッグシップ機、フォトキナに参考出品
http://www.olympus.c[...]
オリンパスイメージング株式会社
2016-09-20
[73]
간행물
どんなシーンでも5軸手ぶれ補正が“ぶれない高画質”を実現 ミラーレス一眼カメラ「OLYMPUS OM-D E-M10 Mark III」発売
https://www.olympus.[...]
オリンパスイメージング株式会社
2017-09-01
[74]
뉴스
デュアル画像処理エンジン搭載の「OLYMPUS OM-D E-M1X」
https://dc.watch.imp[...]
デジカメ Watch
2019-01-24
[75]
웹사이트
OM-D E-M5 Mark III {{!}} OM-D
https://www.olympus-[...]
2019-10-17
[76]
웹사이트
OM-D E-M1 Mark III {{!}} OM-D
https://www.olympus-[...]
2020-05-06
[77]
웹사이트
OM-D E-M10 Mark IV {{!}} デジタル一眼カメラ OM-D
https://www.olympus-[...]
オリンパス株式会社
2021-01-09
[78]
간행물
アプリで楽しむ一眼画質、オープンプラットフォームカメラ「OLYMPUS AIR A01」を発売
http://www.olympus.c[...]
オリンパスイメージング株式会社
2015-02-05
[79]
웹사이트
https://panasonic.jp[...]
[80]
간행물
デジタルカメラ LUMIX DMC-G2を発売
https://news.panason[...]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2010-03-09
[81]
간행물
デジタルカメラ LUMIX DMC-G10を発売
https://news.panason[...]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2010-06-04
[82]
간행물
デジタルカメラ LUMIX DMC-G3を発売
https://news.panason[...]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2011-06-13
[83]
간행물
デジタルカメラ LUMIX DMC-G5発売
https://news.panason[...]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2012-09-23
[84]
뉴스
パナソニック、EVFミラーレス「LUMIX DMC-G6」を海外発表
https://dc.watch.imp[...]
Impress Watch
2013-04-24
[85]
간행물
デジタルカメラ LUMIX DMC‐G7発売
http://news.panasoni[...]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2015-06-04
[86]
간행물
デジタルカメラ LUMIX DMC-G8 発売
http://news.panasoni[...]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2016-09-20
[87]
뉴스
パナソニック、“静止画のフラッグシップ”「LUMIX G9」国内発表
https://dc.watch.imp[...]
Impress Watch
2017-11-16
[88]
뉴스
パナソニック、G9 PRO継承のスタンダード機「LUMIX G99」
https://dc.watch.imp[...]
Impress Watch
2019-04-08
[89]
간행물
LUMIX G95 20.3MP Mirrorless Camera, 12-60mm F3.5-5.6 MFT Lens, 4K Video, Pre-installed V-Log L, 3” LCD - DC-G95MK
https://shop.panason[...]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90]
뉴스
パナソニック、マイクロフォーサーズ機「LUMIX G100」を8月に国内発売
https://dc.watch.imp[...]
Impress Watch
2020-07-14
[91]
간행물
デジタルカメラ LUMIX DMC-GH1Kを発売
https://news.panason[...]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2009-03-25
[92]
간행물
デジタルカメラ LUMIX DMC-GH2/GH2H/GH2Kを発売
https://news.panason[...]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2010-09-21
[93]
뉴스
パナソニック、フラッグシップモデル「LUMIX DMC-GH3」を国内正式発表
https://dc.watch.imp[...]
Impress Watch
2012-10-25
[94]
뉴스
パナソニック、4K動画に対応した「LUMIX DMC-GH4」を開発発表
https://dc.watch.imp[...]
Impress Watch
2014-02-07
[95]
간행물
デジタルカメラ LUMIX DC-GH5 発売
http://news.panasoni[...]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2017-01-25
[96]
간행물
DC-GH5S
https://panasonic.jp[...]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97]
간행물
デジタルカメラ LUMIX DMC-GF1を発売
https://news.panason[...]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2009-09-02
[98]
간행물
デジタルカメラ LUMIX DMC-GF2を発売
https://news.panason[...]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2010-11-18
[99]
간행물
デジタルカメラ LUMIX DMC-GF3を発売
https://news.panason[...]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2011-06-13
[100]
간행물
デジタルカメラ LUMIX DMC-GF5を発売
https://news.panason[...]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2012-04-05
[101]
간행물
デジタルカメラ LUMIX DMC-GF6発売
https://news.panason[...]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2013-04-09
[102]
간행물
デジタルカメラ LUMIX DMC-GF7W発売
http://news.panasoni[...]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2015-01-20
[103]
간행물
デジタルカメラ LUMIX DC-GF9W 発売
http://news.panasoni[...]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2017-01-06
[104]
뉴스
パナソニック、自分撮り機能充実のミラーレスカメラ「LUMIX GF10/GF90」
https://dc.watch.imp[...]
Impress Watch
2018-02-01
[105]
간행물
デジタル一眼カメラ LUMIX DMC-GX1を発売
https://news.panason[...]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2011-11-08
[106]
간행물
デジタルカメラ LUMIX DMC-GX7発売
https://news.panason[...]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2013-08-01
[107]
간행물
デジタルカメラ DMC‐GX8発売
http://news.panasoni[...]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2015-07-16
[108]
간행물
デジタルカメラ Lumix GX7 Mark II を発売
http://news.panasoni[...]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2016-04-05
[109]
웹사이트
デジタルカメラ LUMIX DC-GX7MK3 発売 {{!}} プレスリリース
http://news.panasoni[...]
2019-04-10
[110]
간행물
デジタルカメラ LUMIX GM発売
https://news.panason[...]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2013-10-17
[111]
간행물
デジタルカメラ LUMIX GM1S発売
https://news.panason[...]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2014-10-01
[112]
간행물
デジタルカメラ LUMIX GM5発売
https://news.panason[...]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2014-10-01
[113]
뉴스
パナソニック、世界初4/3センサー搭載AVCHDカメラ
https://av.watch.imp[...]
Impress Watch
2010-09-13
[114]
뉴스
パナソニック、マイクロフォーサーズの業務用カメラ
https://av.watch.imp[...]
Impress Watch
2012-11-05
[115]
뉴스
【Inter BEE】25万円のマイクロフォーサーズシネマカメラ
https://av.watch.imp[...]
Impress Watch
2012-11-15
[116]
간행물
ブラックマジックデザイン、 Blackmagic Pocket Cinema Camera を発表
http://www.blackmagi[...]
Blackmagic Design
2013-04-08
[117]
웹사이트
ブラックマジックPocket Cinema Camera 4Kレビュー
https://www.cinema5d[...]
2018-10-31
[118]
뉴스
YI enters the mirrorless race with the M1
https://www.dpreview[...]
Digital Photography Review
2016-09-19
[119]
뉴스
【Inter BEE】カメラ/ディスプレイの4K対応が一気に加速
https://av.watch.imp[...]
Impress Watch
2012-11-14
[120]
웹사이트
8Kカメラシステム CM-9010-B
https://www.astrodes[...]
2018-06-20
[121]
뉴스
【CES】コダックがマイクロフォーサーズ参入
https://dc.watch.imp[...]
2014-01-10
[122]
웹사이트
マイクロフォーサーズ規格にYONGNUO、MEDIAEDGE、Laowaが賛同 デジカメライフ
https://dclife.jp/ca[...]
[123]
웹사이트
ガチのカメラ!Android搭載マイクロフォーサーズ「YN455」、永諾がお披露目
https://smhn.info/20[...]
2023-07-25
[124]
뉴스
Logitech、ライブ配信向けのマイクロフォーサーズカメラ
https://pc.watch.imp[...]
デジカメWatch
2024-03-21
[125]
간행물
広角ズーム、標準ズーム、高倍率ズームレンズを発売
https://news.panason[...]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2009-03-25
[126]
간행물
超広角ズームレンズ「M.ZUIKO DIGITAL ED 7-14mm F2.8 PRO」 (35mm判換算14-28mm相当)を発売
http://www.olympus.c[...]
オリンパス株式会社
2015-05-12
[127]
간행물
マイクロフォーサーズシステム用交換レンズ H-E08018を発売
http://news.panasoni[...]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2017-04-19
[128]
간행물
超小型・軽量の交換レンズ「M.ZUIKO DIGITAL ED 9-18mm F4.0-5.6」および「ED 14-150mm F4.0-5.6」を発売
http://www.olympus.c[...]
オリンパスイメージング株式会社
2010-02-03
[129]
간행물
広角24mmからの小型 標準ズームレンズを発売
https://news.panason[...]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2013-10-17
[130]
간행물
マイクロフォーサーズシステム用交換レンズとして初めて全域F2.8を実現したズームレンズを発売
https://news.panason[...]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2012-05-21
[131]
간행물
「マイクロフォーサーズシステム規格」準拠 「M.ZUIKO DIGITAL ED 12-40mm F2.8 PRO」発売
http://www.olympus.c[...]
オリンパスイメージング株式会社
2013-09-10
[132]
간행물
電動ズーム機構を搭載した約4.2倍ズームレンズ「M.ZUIKO DIGITAL ED 12-50mm F3.5-6.3 EZ」を発売
http://www.olympus.c[...]
オリンパスイメージング株式会社
2011-12-16
[133]
문서
カラーはブラック、シルバーの2色
[134]
간행물
「マイクロフォーサーズシステム規格」準拠の交換レンズ「M.ZUIKO DIGITAL 17mm F2.8」、「ED 14-42mm F3.5-5.6」を発売
http://www.olympus.c[...]
オリンパスイメージング株式会社
2009-06-16
[135]
간행물
マイクロフォーサーズシステム用交換レンズ H-ES12060を発売
http://news.panasoni[...]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2017-01-25
[136]
간행물
マイクロフォーサーズシステム用交換レンズH-FS12060を発売
http://news.panasoni[...]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2016-02-24
[137]
문서
レンズキット用。単体発売無し
[138]
간행물
「マイクロフォーサーズシステム規格」準拠「M.ZUIKO DIGITAL 14-42mm F3.5-5.6II」を発売
http://www.olympus.c[...]
オリンパスイメージング株式会社
2010-11-16
[139]
간행물
新世代 マイクロ一眼 「OLYMPUS PEN Lite E-PL3」の開発について
http://www.olympus.c[...]
オリンパスイメージング株式会社
2011-06-30
[140]
뉴스
オリンパス、世界最薄の電動標準ズームレンズ
https://dc.watch.imp[...]
Impress Watch
2014-01-29
[141]
문서
カラーはブラック、グレー、シルバーの3色
[142]
간행물
マイクロフォーサーズシステム用標準ズームレンズを発売
https://news.panason[...]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2013-01-29
[143]
간행물
ルミックス Xシリーズレンズ 2機種を発売
https://news.panason[...]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2011-08-26
[144]
간행물
マイクロフォーサーズ用交換レンズ H-PS14042 ホワイトカラーモデル追加発売
http://news.panasoni[...]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2013-04-09
[145]
간행물
2016年9月20日発表 デジタル一眼交換レンズおよびフラッシュ発売日決定のお知らせ
https://www.olympus.[...]
オリンパスイメージング株式会社
2016-11-02
[146]
간행물
マイクロフォーサーズシステム用 高倍率ズームレンズを発売
https://news.panason[...]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2013-05-14
[147]
간행물
タムロン初、マイクロフォーサーズカメラに最適な高倍率ズームを発売 『14-150mm F/3.5-5.8 Di III(Model C001)』
http://www.tamron.co[...]
株式会社タムロン
2014-06-19
[148]
간행물
「M.ZUIKO DIGITAL ED 14-150mm F4.0-5.6 II」(35mm判換算28-300mm)を発売
http://www.olympus.c[...]
オリンパスイメージング株式会社
2015-02-05
[149]
간행물
高性能とコンパクト性を両立させた全域F2.8大口径・望遠ズームレンズを発売
https://news.panason[...]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2012-09-18
[150]
간행물
小型・軽量化を実現した望遠ズームレンズを発売
https://news.panason[...]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2014-10-01
[151]
간행물
「M.ZUIKO DIGITAL ED 40-150mm F2.8 PRO」を発売
http://www.olympus.c[...]
オリンパスイメージング株式会社
2014-09-16
[152]
간행물
「マイクロフォーサーズ」準拠の交換レンズ 「M.ZUIKO DIGITAL ED 75-300mmF4.8-6.7」「ED 40-150mm F4.0-5.6」を発売
http://www.olympus.c[...]
オリンパスイメージング株式会社
2010-09-14
[153]
간행물
小型で軽量な 望遠ズームレンズを発売
https://news.panason[...]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2012-08-23
[154]
문서
レンズキット用にブラックがあるが、単体発売はグレーのみ
[155]
간행물
より手軽に超望遠撮影を楽しめる「M.ZUIKO DIGITAL ED 75-300mm F4.8-6.7II」発売
http://www.olympus.c[...]
オリンパスイメージング株式会社
2013-01-30
[156]
간행물
パンケーキレンズ・望遠ズームレンズ・世界初3Dレンズを発売
https://news.panason[...]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2010-09-21
[157]
간행물
マイクロフォーサーズシステム用交換レンズH-RS100400を発売
http://news.panasoni[...]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2016-01-19
[158]
간행물
世界初※1大口径F1.8の高性能魚眼レンズ「M.ZUIKO DIGITAL ED 8mm F1.8 Fisheye PRO」発売
http://www.olympus.c[...]
オリンパス株式会社
2015-05-12
[159]
간행물
マイクロフォーサーズ初の魚眼レンズを発売 H-F008:LUMIX G FISHEYE 8mm/F3.5
https://news.panason[...]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2010-06-04
[160]
간행물
大口径広角単焦点 “ハイグレードスナップレンズ”「M.ZUIKO DIGITAL ED 12mm F2.0」を発売
http://www.olympus.c[...]
オリンパスイメージング株式会社
2011-06-30
[161]
간행물
マイクロフォーサーズシステム用交換レンズ12mm F1.4「SUMMILUX(ズミルックス)」 LEICA DGレンズを発売
http://news.panasoni[...]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2016-06-15
[162]
웹사이트
Photokina 2012: Neuheiten von Jos. Schneider Optische Werke
https://schneiderkre[...]
Jos. Schneider Optische Werke GmbH.
2012-09-27
[163]
문서
https://www.43rumors[...]
[164]
간행물
小型パンケーキレンズを発売
https://news.panason[...]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2014-10-01
[165]
간행물
マイクロフォーサーズシステム用交換レンズ「LEICA DG SUMMILUX 15mm/F1.7 ASPH.」の商品化について
http://panasonic.jp/[...]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2013-10-17
[166]
뉴스
オリンパス、「M.ZUIKO DIGITAL 17mm F1.8」を21日に発売
https://dc.watch.imp[...]
Impress Watch
2012-12-14
[167]
뉴스
シグマ、マイクロフォーサーズ用「19mm F2.8 EX DN」を3月16日に発売
https://dc.watch.imp[...]
Impress Watch
2012-03-09
[168]
뉴스
シグマ、「30mm F1.4 DC HSM」「19mm F2.8 DN」「30mm F2.8 DN」を正式発表
https://dc.watch.imp[...]
Impress Watch
2013-03-08
[169]
간행물
小型・高性能 パンケーキレンズ、マクロレンズを発売
https://news.panason[...]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2009-09-02
[170]
간행물
小型・高性能 パンケーキレンズ H-H020Aを発売
https://news.panason[...]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2013-06-27
[171]
웹사이트
作品づくりの礎となる、柔らかいボケ味の標準50mm(35mm判換算)レンズ
http://panasonic.jp/[...]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2015-10-23
[172]
간행물
マイクロフォーサーズシステム用交換レンズとして最も明るい単焦点レンズを発売
https://news.panason[...]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2011-06-13
[173]
뉴스
オリンパス、大口径標準レンズ「M.ZUIKO DIGITAL 25mm F1.8」
https://dc.watch.imp[...]
Impress Watch
2014-01-29
[174]
뉴스
シグマ、ミラーレス用レンズ「30mm F2.8 EX DN」を国内発表
https://dc.watch.imp[...]
Impress Watch
2012-02-08
[175]
웹사이트
被写体を印象的に捉える、美しいボケ味の中望遠ポートレートレンズ
http://panasonic.jp/[...]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2015-04-23
[176]
뉴스
パナソニック、「LEICA DG NOCTICRON(ノクチクロン)42.5mm/F1.2」を発表
https://dc.watch.imp[...]
Impress Watch
2013-08-01
[177]
간행물
背景のボケを手軽に楽しめる“ファミリーポートレートレンズ”「M.ZUIKO DIGITAL 45mm F1.8」を発売
http://www.olympus.c[...]
オリンパスイメージング株式会社
2011-06-30
[178]
뉴스
シグマ、ミラーレス用レンズ「60mm F2.8 DN」を17日に発売
https://dc.watch.imp[...]
Impress Watch
2013-05-07
[179]
간행물
ハイグレード・ポートレートレンズ「M.ZUIKO DIGITAL ED 75mm F1.8」を発売
http://www.olympus.c[...]
オリンパスイメージング株式会社
2012-05-24
[180]
간행물
超望遠レンズの手持ち撮影を可能にした最強の手ぶれ補正と圧倒的な機動性。高性能超望遠レンズ「M.ZUIKO DIGITAL ED 300mm F4.0 IS PRO」(35mm判換算600mm相当)を発売
http://www.olympus.c[...]
オリンパス株式会社
2015-01-06
[181]
뉴스
風景撮影から等倍マクロ撮影まで幅広く使える標準マクロレンズを発売
http://news.panasoni[...]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2015-04-06
[182]
간행물
防塵防滴対応のネイチャーマクロレンズ「M.ZUIKO DIGITAL ED 60mm F2.8 Macro」を発売
http://www.olympus.c[...]
オリンパスイメージング株式会社
2012-09-17
[183]
웹사이트
LAOWA 4mm F2.8 Fisheye MFT {{!}} 製品情報 {{!}} LAOWA
https://www.laowa.jp[...]
[184]
웹사이트
Samyang 7.5mm F3.5 fish-eye for Micro Four Thirds coming soon
http://www.dpreview.[...]
Digital Photography Review
2011-09-05
[185]
웹사이트
LAOWA 7.5mm F2 MFT {{!}} 製品情報 {{!}} LAOWA
https://www.laowa.jp[...]
[186]
웹사이트
PROMINAR 8.5mm F2.8
http://www.kowa-prom[...]
KOWA PROMINAR
2014-09-20
[187]
웹사이트
LAOWA 9mm F2.8 ZERO-D MFT {{!}} 製品情報 {{!}} LAOWA
https://www.laowa.jp[...]
[188]
웹사이트
PROMINAR 12mm F1.8
http://www.kowa-prom[...]
興和光学株式会社
[189]
간행물
コーワは、マイクロフォーサーズ専用マウント単焦点レンズ「KOWA PROMINAR 12mm F1.8」、「KOWA PROMINAR 25mm F1.8」の2機種を新発売
http://www.kowa-prom[...]
興和光学株式会社
2015-01-09
[190]
웹사이트
LAOWA 17mm F1.8 MFT {{!}} 製品情報 {{!}} LAOWA
https://www.laowa.jp[...]
[191]
뉴스
コシナ、マイクロフォーサーズ用「NOKTON 17.5mm F0.95」を4月29日発売
https://dc.watch.imp[...]
Impress Watch
2012-03-14
[192]
웹사이트
SLR Magic to show four prototype lenses at Photokina
http://www.dpreview.[...]
Digital Photography Review
2012-09-15
[193]
뉴스
コシナ、マイクロフォーサーズ用「NOKTON 25mm F0.95」を11月25日に発売
https://dc.watch.imp[...]
Impress Watch
2010-09-24
[194]
뉴스
コシナ、マイクロフォーサーズ用MFレンズ「NOKTON 25mm F0.95 Type II」を発表
https://dc.watch.imp[...]
Impress Watch
2014-02-12
[195]
뉴스
エー・パワー、ホルガレンズにミラーレスカメラ用など追加
https://dc.watch.imp[...]
Impress Watch
2011-06-14
[196]
웹사이트
PROMINAR 25mm F1.8
http://www.kowa-prom[...]
興和光学株式会社
[197]
간행물
中一光学│ZHONG YI OPTICS SPEEDMASTER 25mm F0.95 – マイクロフォーサーズ 販売開始!
http://stkb.co.jp/in[...]
焦点工房
2015-11-12
[198]
뉴스
アドプラス、9,800円のマイクロフォーサーズ用トイレンズ
https://dc.watch.imp[...]
Impress Watch
2011-07-08
[199]
뉴스
大口径MFレンズ「MITAKON 35mm F0.95」にマイクロフォーサーズ用
https://dc.watch.imp[...]
Impress Watch
2013-05-22
[200]
뉴스
怪しいサードパーティーレンズ「SLR Magic」で遊ぶ!|ソニーのミラーレス一眼「NEX」を使いこなす!
https://ascii.jp/ele[...]
アスキー・メディアワークス
2010-11-04
[201]
뉴스
【CP+】KIPON、ミラーレス用大口径レンズ「40mm F0.85」を展示
https://dc.watch.imp[...]
Impress Watch
2013-02-02
[202]
뉴스
マイクロフォーサーズ用「NOKTON 42.5mm F0.95」が8月23日に発売
https://dc.watch.imp[...]
Impress Watch
2013-07-29
[203]
간행물
中一光学│ZHONG YI OPTICS FREEWALKER 42.5mm F1.2 – マイクロフォーサーズ ミラーレス一眼レンズ 販売開始!
http://stkb.co.jp/in[...]
焦点工房
2015-04-30
[204]
뉴스
SLR Magic、F0.95のEマウント/マイクロフォーサーズ用50mmレンズ
https://dc.watch.imp[...]
Impress Watch
2011-09-20
[205]
웹사이트
Tokina マイクロフォーサーズ専用ミラーレンズReflex 300mm F6.3 MF MACRO 5月25日発売予定
http://www.tokina.co[...]
株式会社ケンコー・トキナー
2012-05-11
[206]
웹사이트
Kenko ミラーレンズ 400mm F8 発売
http://www.kenko-tok[...]
株式会社ケンコー・トキナー
2012-01-31
[207]
뉴스
安原製作所のLED付き5倍マクロレンズ「NANOHA」(なのは)を試す
https://dc.watch.imp[...]
Impress Watch
2011-05-27
[208]
뉴스
安原製作所のミラーレス用全周魚眼レンズ「MADOKA」(まどか)を試す
https://dc.watch.imp[...]
Impress Watch
2012-03-23
[209]
뉴스
「ベス単フード外し」の再来か?安原製作所の新レンズ 超ソフトフォーカスな「MOMO 100」
https://dc.watch.imp[...]
Impress Watch
2016-08-02
[210]
뉴스
ケンコー、Eマウントとマイクロフォーサーズ用「レンズベビーコンポーザー」
https://dc.watch.imp[...]
Impress Watch
2011-01-27
[211]
뉴스
「レンズベビーコンポーザープロ」に、NEX用とマイクロフォーサーズ用が登場
https://dc.watch.imp[...]
Impress Watch
2012-12-21
[212]
뉴스
【フォトキナ】ケンコー・トキナーが「AT-X 12-28 F4 PRO DX」を出品
https://dc.watch.imp[...]
Impress Watch
2012-09-30
[213]
뉴스
Pinwide: Wide-Angle Pinhole Lens for Micro Four Thirds Cameras
http://www.wired.com[...]
Condé Nast Publications
2012-09-30
[214]
웹사이트
SLR Magic adds Toy lenses for Q, E and Micro Four Thirds mounts
http://www.dpreview.[...]
Digital Photography Review
2012-09-27
[215]
뉴스
Rising、広角やビネット効果を得られるピンホールレンズ
https://dc.watch.imp[...]
Impress Watch
2012-09-30
[216]
간행물
「OLYMPUS PEN Lite E-PL5 / PEN mini E-PM2」向け各種アクセサリーを発売
http://www.olympus.c[...]
オリンパスイメージング株式会社
2012-09-18
[217]
뉴스
Lomography、マイクロフォーサーズの交換レンズキット
https://dc.watch.imp[...]
Impress Watch
2013-10-19
[218]
간행물
「マイクロフォーサーズシステム規格」に、株式会社コシナが賛同
http://www.olympus.c[...]
オリンパスイメージング株式会社
2012-09-18
[219]
간행물
マイクロフォーサーズシステム規格に、ドイツのシュナイダー社と、駒村商会が賛同
http://www.olympus.c[...]
オリンパスイメージング株式会社
2012-09-18
[220]
간행물
マイクロフォーサーズシステム規格に、ドイツのカールツァイス社が賛同
http://www.olympus.c[...]
オリンパスイメージング株式会社
2012-09-18
[221]
간행물
デジタル最高画質を目指し開発された「フォーサーズシステム規格」に3社が新たに賛同
http://www.olympus.c[...]
オリンパス株式会社
2012-09-18
[222]
웹사이트
新システムカメラ用交換レンズ開発のご案内
http://www.sigma-pho[...]
株式会社シグマ
2012-09-18
[223]
간행물
マイクロフォーサーズシステム規格にアストロデザイン、ケンコー・トキナー、タムロンが賛同
http://www.olympus.c[...]
オリンパスイメージング株式会社
2012-09-18
[224]
간행물
「マイクロフォーサーズシステム規格」に国内外の5社が新たに賛同を表明 Blackmagic Design、JK Imaging、フォトロン、SVS-VISTEK、ビュープラスの参加でさらなるラインアップの拡充へ
http://www.olympus.c[...]
オリンパスイメージング株式会社
2013-01-22
[225]
웹사이트
フォーサーズシステム公式サイト
http://www.four-thir[...]
2005-02-19
[226]
문서
"WELCOME" TO THE REAL WORLD 高精細マイクロフォーサーズ専用マウントカメラ対応 コーワ 超広角・単焦点レンズ
http://www.kowa-prom[...]
2014
[227]
뉴스
CP+2014レポート&マイクロフォーサーズ規格に賛同
http://www.tomytec.c[...]
トミーテック
2014-02-27
[228]
뉴스
「マイクロフォーサーズシステム規格」にJVCケンウッドが賛同
https://dc.watch.imp[...]
デジカメWatch
2014-04-07
[229]
뉴스
マイクロフォーサーズシステム規格に新たな賛同社
https://dc.watch.imp[...]
デジカメWatch
2015-02-10
[230]
뉴스
マイクロフォーサーズ規格に5社が賛同を表明
https://dc.watch.imp[...]
デジカメWatch
2016-02-10
[231]
문서
ニュース 製品関連情報
http://four-thirds.o[...]
Four Thirds
[232]
웹사이트
マイクロフォーサーズシステム規格にシャープが新たに賛同:2019:ニュース:オリンパス
https://www.olympus.[...]
2019-04-10
[233]
뉴스
シャープがマイクロフォーサーズ規格に賛同。対応製品開発へ
https://av.watch.imp[...]
AV Watch
2019-04-03
[234]
뉴스
「TTArtisan」の銘匠光学、マイクロフォーサーズシステム規格に賛同
https://dc.watch.imp[...]
デジカメWatch
2022-02-14
[235]
뉴스
マイクロフォーサーズシステム規格にSIRUIが賛同
https://dc.watch.imp[...]
デジカメWatch
2024-05-28
[236]
뉴스
Olympus and Panasonic announce Micro Four Thirds
http://www.dpreview.[...]
Digital Photography Review
2008-08-05
[237]
뉴스
World First: Panasonic Announces µ4/3 camera, Lumix G1
http://www.digitalve[...]
Digital Vesus
2009-03-31
[238]
뉴스
No more compromises: The Four Thirds Standard
http://www.olympus-e[...]
Olympus Europe
2013-08-02
[239]
뉴스
Micro Four Thirds system
http://www.imaging-r[...]
The Imaging Resource
[240]
뉴스
Panasonic premieres DMC-GH1 with HD video recording
http://www.dpreview.[...]
Digital Photography Review
2009-03-11
[241]
문서
미러리스임에도 불구하고 올림푸스는 OM-D 시리즈를 제외하고는 DSLR이라고 잘못 칭하고 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